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면
저변
밑바탕
근본
본바탕
기질
바닥
뉴스
"
밑바닥
"(으)로 총 7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담으면 파도의 힘으로 뒤흔들어 배터리로 쓸 수 있을 것”이라며 “균형을 잡기 위해 배
밑바닥
에 싣는 물을 자기유체로 바꿔서 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똥에서 모은 가스로 모터를 돌려 돌려∼ 소나 돼지가 배설한 똥을 발효시키면 소중한 전기 연료이자 ... ...
박물관서 스마트폰만 켜면 ‘도슨트’가 내 손안에
2015.01.12
퀴즈 등 다양한 이벤트도 가능하다.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청자나 백자의 뒷모습이나
밑바닥
등, 보이지 않는 부분도 앱을 통해 자세히 볼 수 있다. 연구진은 향후 전시관은 물론 교육분야나 실내측위분야에도 유용할 것으로 보고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와 ... ...
자기부상열차 상반기중 국내 첫 개통…운행 땐 세계 두번째
동아닷컴
l
2015.01.02
말했다. 자기부상열차는 자석의 같은 극끼리 밀어내는 원리를 이용한다. 레일과 열차
밑바닥
에 같은 극의 자석을 붙여 열차를 레일 위 8㎜ 높이에 띄운 뒤 최고 속도 시속 110㎞로 달릴 수 있다. 레일과 마찰이 없어 바퀴가 달린 기존 열차보다 승차감이 좋다. 승객 230명이 한꺼번에 탑승할 수 있다.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올해 처음 선보이는 학과, 어떻게 뽑을까
과학동아
l
2014.11.26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 다행히 우리는 하드웨어 기술력이 뛰어나
밑바닥
부터 시작하지 않아도 된다. 세계 최고의 하드웨어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더하면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학부 교수 이수원 - 숭실대 제공 “수학 좀 못해도 논리 뛰어난 ... ...
레일위 8mm 떠 소리없이 스르르…세계 두 번째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개통 임박
과학동아
l
2014.05.15
자기부상열차는 자석의 같은 극끼리 밀어내는 힘을 이용한다. 레일과 열차
밑바닥
에 같은 극의 자석을 붙여 열차를 레일 위에 떠 있게 만드는 것이다. 이 때문에 레일과 마찰이 없어 바퀴가 달린 기존 열차보다 승차감이 훨씬 좋다. 이날 에코비는 곡선 구간에서도 진동을 거의 느낄 수 없을 ... ...
[세월호 침몰]초음파 스캐너로 세월호 주변 조사
과학동아
l
2014.04.22
길이 2.4m, 높이 2m, 무게 600㎏의 대형 로봇으로 6개의 다리를 이용해 최고 시속 2~3km로 바다
밑바닥
을 전후좌우로 움직인다. 물 속을 헤엄치는 방식이 아니라 다리로 바닥을 짚고 움직이고 방식이어서 투입될 경우 강한 조류에 휩쓸리지 않고 사고 현장을 조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대 탐사 ... ...
상어 게놈 분석하니 면역계 진화비밀 풀리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코끼리를 닮았다고 해서 영미권에서는 코끼리 상어(elephant shark)로도 부르는데, 바다
밑바닥
에 사는 작은 무척추동물을 즐겨먹는 퉁소상어는 몸길이가 1.2m까지 성장한다. 몸의 크기는 작은 편이지만 등지느러미 앞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가시에는 독이 있다. 미국 워싱턴대 게놈연구소 연구진이 ... ...
지구온난화 알고보니 2세기 전 산업혁명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바다 속 질소는 바다
밑바닥
에 사는 미생물들이 만들어내는데, 지구가 더워진 탓에 바다
밑바닥
에서 만들어진 질소가 위쪽 바닷물과 섞이지 못하고 아래쪽에 쌓여 산호에 침전되는 양이 점점 늘어났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바닷물이 따듯해지기 시작한 1800년대가 산업혁명으로 인간이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후 수일 만에 700여 조각(총 5.5kg)의 운석을 찾아냈으며 10월에는 570kg의 거대 운석을 호수
밑바닥
에서 발견하기도 했다. 운석 조각들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러시아에서 1600명을 다치게 하고 건물 7000여 채를 파손한 소행성의 궤도와 폭발 이유가 밝혀졌다. 그 밖의 인물들 펭 장 - ... ...
바다 속 '이것' 미래 인류의 젖줄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대륙붕(Continental Shelf)은 얕은 바다의 평평한
밑바닥
을 가리킨다. 해양생물과 천연가스·석유 등이 풍부해 '자원의 보고'로 불린다. - 위키미디어 제공 빈센트 포스트 호주 국립지하수연구&훈련센터 박사는 “점토와 같은 침전물 아래에 저염도의 대륙붕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