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직복
뉴스
"
법의
"(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실 사고 피해자 치료비 보상한도 1억원으로 올린다...학생연구원 산재보험 가입의무화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2020년 12월 10일 전부개정 시행에 맞춰 하위법령을 제·개정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실안전
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은 각각 지난해 12월 10일과 12월 18일 공포·시행됐다.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고시)’를 신설해 지난해 12월 31일 공포했으며 이는 2년 뒤인 2022년 12월 31일 시행된다. ... ...
'경북대 실험실 사고를 기억하라'…끊이지 않는 실험실 안전사고 지난해만 232건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과기정통부 실태조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구실안전
법의
적용을 받는 기관은 총 4035개로 이 가운데 기업부설연구소(3521개)가 가장 많고, 연구기관(176개), 대학(338개) 순으로 대학이 가장 적었다. 반면 연구활동종사자는 총 132만2814명으로 이 가운데 연구초년생에 ... ...
인간도 곰처럼 겨울잠 잤을까
2020.12.21
현상이 심각한 환경에서 살았다고 반박했다. 패트릭 랜돌프 퀴니 영국 노섬브리아대
법의
인류학 교수는 “이번 연구는 매우 흥미로운 가설을 제시하고 있지만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며 “유골에서 발견된 흔적을 설명할 연구들이 더 소개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 ...
"금주 하루 확진자 550~700명, 내주 매일 900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유전자증폭(PCR) 방식으로 확인한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타액검사
법의
민감도는 92%로 이 정도면 상당히 높은 비율”이라고 설명했다. 민감도 92%는 감염자 100명의 타액으로 92명을 진단해낼 수 있다는 뜻이다. 신속항원검사는 정확도가 다소 떨어져 그간 공식 진단법으로 활용되지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
2020.11.29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법은 권리 위에 잠자는 자를 보호하지 않는다’는 민
법의
원칙은 ‘텃세를 부리지 않는 개체는 터를 포기하는 것이다’라는 생태학적 원칙과 동일하다. 하지만 아파트값이 너무나도 비싸다. 혹시 선점권을 너무 과도하게 보호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인간이니까 ... ...
연구개발비 사용기준·과제 참여연구원 수 기준 등 ‘국가연구개발혁신법’ 고시 행정예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현재 시행령과 행정규칙, 고시 제정이 추진되고 있다. 이번에 행정예고하는 고시는
법의
취지를 살려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상세한 기준을 담은 것이다. 이번에 의견이 수렴되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하위 7개 고시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국가연구개발정보 처리 기준, ... ...
행렬 이용해 코로나19 검사량은 늘리고 가격은 낮추고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대책위원회 소속인 한 전문가는 “국내 취합검사
법의
경우 6개까지 검체를 섞더라도 개별 검사와 비교해 민감도에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취합검사법은 우리나라처럼 유행이 덜해 유병률이 낮은 지역에서 특히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 ...
[변재일 의원]정부 R&D하면 안되는 연구자들 '관리 구멍' 뚫고 버젓이 연구비 받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참여제한 처분을 받은 연구자 23명이 제한 조치를 받은 기간에도 정부의 관리소홀과
법의
허점을 틈타 연구과제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재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처분자 과제수행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개발도 수상해서, 2015년에는 말라리아 약과 기생충 치료제 발견이, 2010년에는 체외수정
법의
발명이 수상하기도 했다. 2012년 수상한 줄기세포 역분화 기술은 미래 의학적 응용이 기대되는 분야로서 수상했다. 한국을 방문했던 노벨상 수상자들. 왼쪽부터 일주기리듬을 발견해 2017년 생리의학상을 ... ...
[잠깐과학] ‘빛 공해 금지법’ 가장 먼저 도입한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6.06
설립했다. 하지만 체코의 천문학자들은 빛 공해를 막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은
법의
규제라고 생각하고, 의회를 통해 열심히 청원 활동을 벌였다. 2002년 6월 1일 체코는 빛 공해를 막는 법을 가장 먼저 도입한 최초의 나라가 됐다. 바깥에서 사용하는 불빛은 필요한 방향으로만 비치고 하늘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