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뉴스
"
법칙
"(으)로 총 521건 검색되었습니다.
"뉴턴역학 위배한 '장주기 쌍성 궤도운동' 관측"…기존 우주론 뒤집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7.25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다. AQUAL 이론은 수정뉴턴역학 패러다임 중 하나로, 만유인력의
법칙
과 일반상대성 이론에 따른 등가원리를 위배하는 외부 중력장 효과가 존재한다는 이론이다. 기존 우주론에서는 예측치 밖에서 벌어지는 우주 현상을 뉴턴역학과 일반상대성 이론을 위배하지 않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것이 원자폭탄이다. 지금도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학교과서에서 접하고 있는 질량보존의
법칙
은 진리가 아니며 진리를 탐구해 가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에 불과한 것이다. 과학자가 새로운 내용을 발견하여 학계에서 주장을 했을 때 100%의 과학자들이 동의를 한다 해도 그것은 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제한속도’도 임의로 설정한 것이지만 함부로 무시해서는 안 된다. 세상이 물리학
법칙
만으로 움직인다는 식의 억지는 부끄러운 것이다. 언론 보도에서 진짜 과학과 가짜 과학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황당한 것이다. 상식과 과학을 무시한 가짜 과학은 보도 가치가 전혀 없는 것이기 ... ...
[주말N수학] 지구 궤도 시한폭탄 '우주 쓰레기'도 재활용한다
수학동아
l
2023.07.08
쓰레기다. 공기와 물, 수많은 마찰력이 존재하는 지구 환경과는 달리 우주 공간은 관성의
법칙
이 가장 확실하게 작동하는 곳이다. 궤도에 한 번 들어선 물체는 쉽사리 그 관성을 잃지 않는다. 따라서 인공위성 배치를 위한 수많은 로켓 발사는 그 과정에서 쓰레기를 배출할 수밖에 없다. 로켓 ... ...
[프리미엄 리포트] 에너지 소비 줄이는 '텅 빈 초경량 금속'
과학동아
l
2023.06.24
1/2mv2, m은 질량, v는 속도)에 따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차체가 가벼우면 관성의
법칙
에 의해 속도를 더 빨리 높이거나 줄일 수 있다. 초경량 금속 만드는 방법 2가지. 과학동아 제공 ● 민들레 씨앗 위에 금속을 올리다 가벼운 물질을 만드는 것 자체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가령 ... ...
인류 vs 모기, 최후의 승자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6.10
2018년 ‘유전자 드라이브’라는 기술을 개발했다. 유전자 드라이브는 자연의 유전
법칙
을 따르지 않고 특정한 유전 형질만 다음 세대에 빠르게 전달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DNA의 특정 부분만 자르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불임 유전자를 탑재해 수컷 모기의 알에 삽입했다. 모기 안으로 ... ...
[주말N수학] 나란히 의대 입학...수학 상위 1%의 비밀무기는
수학동아
l
2023.04.22
바꿔서 계산할 수 있어요. 그렇게 문제의 특정 부분을 포착해서 답을 쉽게 구하는 일반화
법칙
을 개발하고 다른 친구들에게도 가르쳐줬어요." 수학동아DB 권태영 X 김동우, 수학동아 제공 Q. 둘이 같이 공부할 때 있었던 재밌는 일화가 있나요. 김동우 "태영이랑 저는 천문학에 관심이 많아요. ... ...
교통량·혈류 모델링 수학이론 제시 강문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4.05
바탕 위에서 정립된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이다. 유체의 역학을 질량, 운동량, 에너지보존
법칙
을 토대로 모델링한다. 강 교수가 1차원 공간에서 해결한 ‘압축성 오일러 방정식의 충격파’에서 충격파는 유체에서 전파되는 파동의 일종으로 음속보다 빨리 전파된다. 초음속기가 음속 돌파시 발생하는 ... ...
"인간 수명 한계 아직 '최대' 아냐...1950년대 이후 출생 평균수명 급증"
동아사이언스
l
2023.03.30
가파르게 증가하게 된다. 앞선 통계에 따르면 연령대별 사망률은 100세까지는 곰퍼츠
법칙
에 따라 우상향 곡선을 그리다가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유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100세 이후로 생존하는 사례는 이례적인 경우이기 때문에 곰퍼츠 규칙의 영향을 받지 않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냄새분자가 여러 수용체와 복잡하게 작용한 결과다. 얼핏 생각하면 이 과정은 합집합의
법칙
을 따를 것 같다. 예를 들어 냄새분자 A가 냄새수용체 10가지를 활성화하고 분자 B가 수용체 15가지를 활성화하고 둘이 겹치는 수용체가 5개라면(교집합), A와 B 혼합물의 냄새는 수용체 20개가 활성화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