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악
위조
곡해
modulation
뉴스
"
변조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ETRI, 30도 시야각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학회 최고상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한 기술이다. 초당 30기가비트(Gb) 이상의 홀로그램 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계산해 공간광
변조
기에 전송하는 기술도 적용됐다. 김진웅 ETRI 디지털홀로그래피연구실 책임연구원은 “본 기술은 홀로그램뿐 아니라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등 다양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구조색 디스플레이 기술에 적용한 첫 사례”라며 “차세대 저전력 디스플레이, 위
변조
방지 디스플레이 기술 등에 접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센터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포토닉스 리서치’ 1일자에 발표됐다 ... ...
'3D처프' 바다 밑에 가라앉은 해저 유물을 보여줘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개발한 '3D 처프' 기술과 원리가 유사하다. 2킬로헤르츠(㎑)와 8㎑ 대역의 음향 주파수를
변조
해 수중에 쏘는 것을 처프라고 한다. 해저면에서 반사돼 돌아오는 음향 주파수 신호를 기록하고 반사 특성을 분석해 해저 지층과 해저에 묻힌 물체 구조를 추정하는 원리다. 음파를 쏜 뒤 물체 ... ...
위
변조
막을 새로운 색변환 잉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만들 수 있다. 이를 반복적인 구조로 만들면 두 가지 이상 반사색을 갖게 해 정교한 위
변조
방지 소재로 응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층씩 반복적으로 쌓으려면 정교한 설비들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기름에 잘 섞이는 액정과 물과 잘 섞이는 유기 알코올을 기름과 물을 동시에 ... ...
낮은 전력으로 통신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기술을 이용해 IoT 기기들이 방사하는 무선 신호가 와이파이(WiFi) 신호로 공중에서
변조
되도록 설계했다”며 “이를 통해 IoT 기기를 와이파이 기기에 연결해 인터넷을 공급받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후방산란 기술을 통한 에너지 수확을 통해 무전원으로 동작할 수 있어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 ...
블록체인 관련 특허출원 폭발적으로 늘어…인증·보안기술 주도
연합뉴스
l
2020.07.07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에 관한 출원, 네트워크에 대한 악의적 공격을 탐지하는 출원, 위
변조
검증 및 방지에 관한 출원 등이 증가하는 추세다. 블록체인으로 구현된 인증·보안에 관한 특허출원은 2015년 9건에 불과했으나, 2018년 188건, 지난해 285건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안병일 특허청 ... ...
[표지로 읽는 과학]차세대 초정밀 라이다 가능성을 제시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6
방해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막기 위해 반사 레이저의 파장을 분석하는 주파수
변조
법(FMCW) 라이다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추가 레이저를 이용해 사물에서 반사된 레이저의 파장을 변화시켜 그 파장 특성을 분석해 사물의 속도를 구한다. 이 기술은 큰 규모로 구현하기 어렵다는 ... ...
늘어났다가 줄어들면서 빛 투과 조절하는 광학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속에 들어간 3차원 나노복합체 필름을 만들었다. 그 결과 가로세로 4.8cm 크기의 광학
변조
필름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크기는 3차원 나노복합체 필름 중에서도 대면적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광학 필름의 모습이다. 광학 필름을 잡아당기면 빛의 산란이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박상민 책임연구원·조학래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4.13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조 대표는 다중밴드 혼합주파수 수동상호
변조
왜곡(PIM) 자동측정 분석기와 900메가헤르츠(MHz) 디지털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한국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분석기는 본래 이동통신 환경과 5G 주파수를 동시에 분석하는 장비로 기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블록체인은 과학을 구원할 수 있을까
2020.03.12
재산을 탕진했다. 암호 화폐는 블록체인의 응용이며, 거래 기록을 영구적으로 위
변조
불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인센티브다. 따라서 암호 화폐와 블록체인은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 화폐는 조금씩 다른 기술을 사용하는 암호화폐일 뿐이다. 수많은 암호 화폐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