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랏빛
보라
보라빛
바이올렛
오랑캐꽃
제비꽃
자줏빛
뉴스
"
보라색
"(으)로 총 22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에너지원으로 쓰지만 아스파탐은 대사돼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두 보랏빛도 뇌에서는
보라색
으로 지각하지만 보랏빛 파장이 포함된 보랏빛만이 망막의 뉴롭신을 자극해 근시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인다. 10여 년 전 파란빛이 멜라놉신(옵신4)을 통해 뇌의 기준 생체시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이 ... ...
[표지로 읽는 과학]전사의 과정을 생생히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6
RNA 중합효소II에 결합한다. 표지 왼쪽에서 보이는 주황색이 다중서브유닛 매개 복합체,
보라색
이 RNA 중합효소II다. 효소와 결합한 복합체는 ‘전사 개시 전 복합체(PIC)’ 형성을 촉진한다. 전사 개시 전 복합체는 RNA 중합효소II가 RNA 합성을 위해 전사 개시 부위에 결합하는 돕는 여러 단백질들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을 내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9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6일 노란색과
보라색
의 구슬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구슬처럼 보이는 것들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나노결정이다. 페로브스카이트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소재를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 ... ...
한없이 완벽에 가까운 천연 블루
과학동아
l
2021.05.06
양배추에 들어있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파란색으로 변하지만, 색이 일정하지 않고 옅은
보라색
을 띠는 단점이 있다. 저스틴 시걸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화학과 교수팀은 적양배추의 안토시아닌을 변형해 안정적인 파란색 천연염료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 ...
3D프린팅으로 만든 인공 폐로 코로나 백신 개발에 사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μm는 100만 분의 1m)로 매우 얇은 인공 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림에서 맨 아래
보라색
부위가 연구진이 개발한 인공 폐 모델이다. 실제 폐포막처럼 3층으로 이뤄져 있다. 포스텍 제공 폐는 바이러스나 미세먼지 등 외부 감염원인 미세 입자의 침입에 가장 취약한 호흡기관으로 꼽힌다. 하지만 ... ...
액시온 존재 2배 빨리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03.04
존재를 탐색하는 공진기의 내부 구조.
보라색
원으로 표현된 것이 액시온 입자다. 액시온 입자가 두 개의 금속칩을 거치면서 전자기파 신호가 증폭되고, 양자 압착 기술에 의해 전자기파가 빠르게 측정되는 모습을 상상해 그렸다. 스티븐 버로우즈(Steven Burrows) 제공 암흑물질은 우주에 널리 존재할 ... ...
"코로나 확산 차단 성공한 국가는 20~49세 먼저 백신 맞아야 사망률 낮추는데 더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인구 0.2%씩 접종하는 상황을 가정할 때(R0=1.5) 사망률은 60대 이상을 먼저 접종하는 경우(
보라색
)가 더 낮다. 반면 한국과 같이 코로나19가 지역사회에 전파되기 전 접종하는 상황에서는 백신 효능이 떨어지거나 공급량이 낮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20~49세를 우선 접종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난다. ... ...
[코로나19 연구속보] 관절염 약이 코로나19 노인 사망률 낮춘다
2020.11.19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미니장기인 ‘간 오가노이드’에 감염된 상태를 촬영한 영상이다.
보라색
점들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영국 런던임페리얼대 제공 카롤린스카연구소는 임페리얼대 연구팀과 함께 실험실에서 오가노이드라 부르는 미니장기를 배양해 이 약물이 코로나19를 어떻게 치료하는지 ... ...
'아름답지만, 치명적인' 과학 이미지로 본 코로나19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2(SARS-CoV-2)에 심하게 감염된 실험실 세포의 모습이다. 노란색들이 바이러스 입자들이며
보라색
으로 표현된 게 실험실 세포다.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주사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촬영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모습들이다.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뇌의 해마에 있는 뉴런으로 들어가 아세틸-CoA로 바뀐 뒤 효소(HAT)의 작용으로 히스톤(
보라색
공)에 달라붙는다(녹색 작은 공). 그 결과 DNA 가닥이 느슨해져 기억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이 촉진된다. 수 시간 뒤 다른 효소(HDAC)의 작용으로 아세틸기가 떨어지며 DNA 가닥이 원래대로 감겨 유전자 발현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