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가치
효과
공로
공적
훈공
뉴스
"
보람
"(으)로 총 183건 검색되었습니다.
[담화문 전문] 박능후"국민 건강 위협 받아선 안돼. 집단행동 자제해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어떤 진료과목 의사를 양성할지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지역 의사가
보람
있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역의료를 강화하고, 의료전달체계를 개편하는 과제도 함께 논의하겠습니다. 또, 전공의 여러분들께도 이해와 협력을 당부드립니다. 정부는 전공의들이 제기하는 수련 ... ...
일반 상가 문 자동문으로 바꿔드려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책임기술원은 “기술개발뿐 아니라 지역 중소기업의 사업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어
보람
을 느낀다”며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등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국민들의 안전한 생활환경에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VR 통해 본 '예술보다 아름다운 과학' IBS 아트 인 사이언스 온라인 전시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과학자의 시선에서 바라본 작품 18점과 연구 과정에서 작품이 탄생하기까지의 어려움과
보람
, 감정 등을 담은 과학자의 뒷이야기도 영상으로 담았다. VR상에서 작품을 클릭하면 간단한 설명과 영상자료를 볼 수 있다. 이번 아트 인 사이언스는 원래 대전 유성구 IBS 본원 과학문화센터에서 이달 2 ... ...
ETRI 딥러닝 기술이전 받은 연구소 기업 2곳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6
ETRI AI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개발된 기술로 중소기업의 AI 시장 진출을 도울 수 있어
보람
을 느낀다”며 “경쟁력 있는 연구성과 도출과 상용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KAIST팀 국제 자율무인선 알고리즘 대회서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 가상 환경에서 실제로 적용되는 것을 보는 것이 모두에게 즐겁고
보람
있는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지난 4~6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2019 로봇엑스 인터랙티브 포럼’에서 진행됐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에게 이타심을 가르치는 법
2019.12.07
더 잘 돕는 경향을 보인다는 발견이 있었다. 정리하면 돕는 행위 자체에서 기쁨과
보람
을 느끼는 것, 타인의 욕구와 필요에 대한 깊은 이해, 가까이할 사람을 잘 선택하되 가깝지 않은 타인을 지나치게 배척하지 않는 태도, 참과 거짓을 판단할 줄 아는 깊은 사고력이 (적어도 아이들의) 친사회성 ... ...
미스터리 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골격 50년만에 과학적 복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5
완벽한 골격을 복원하고 과학적으로 고증된 외형을 제작해 연구자로서
보람
되고 기쁘다”며 “연구를 지속해 실물크기의 복원 골격을 제작하고, 다양한 체험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해 미래 지구과학자 양성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모델링 수정 과정(왼쪽)을 보여주는 사진과, 이렇게 완성된 ... ...
"전세계 인구 100명중 17명은 우울증. 광유전학이 치료길 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뇌 부위인 ‘외측고삐핵’의 활동을 억제하는 성질이 있다. 외측고삐핵은 기쁨과
보람
을 느끼게 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완전히 우울증에 빠져버리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우울증 환자의 외측고삐핵 활동을 관찰하면 마치 기관총이 총알을 발사하듯 신경 ... ...
[백스테이지 인터뷰]“민간 첫 달 착륙 시도 핵심동력은 자원봉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8.31
것”이라며 “아이들에게 이런 굉장한 일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는 데 사람들이
보람
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가장 큰 매력 포인트는 그들이 뭔가 아주 특별한 것에 참여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게 아닐까 싶다”며 “우리는 최초의 민간 태양계 탐사 임무이자 최초로 민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숲을 늘려야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2019.07.09
대신 숲 회복 프로젝트를 펼친다면 이산화탄소 포집·저장도 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보람
있는 일자리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지구촌의 식물 생물량을 늘려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데 기여하는 게 진정 인류와 지구를 위하는 길이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