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제목
부표제
소제목
소제
서브타이틀
뉴스
"
부제
"(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듣고 또 듣고’ 음악에 중독되는 이유
2015.11.01
관한 복잡한 공식과 이론을 다루기보다 ‘사진으로 공감하는 원소의 모든 것’이라는
부제
처럼 다양한 사진과 자료가 이해를 돕는다. 또 원소가 우리 생활 속에 어떻게 쓰이는지를 예시를 통해 보여줘 화학으로 이뤄진 세계를 소개한다. 나아가 지구의 핵부터 화성, 혜왕성 그리고 저 멀리의 별에 ... ...
알츠하이머병도 전염 될까?
2015.09.21
다우어 드라이스마 교수의 2006년 작품 ‘마음의 혼란’이 지난 봄 뒤늦게 번역출간됐다.
부제
‘사람의 이름을 갖게 된 마음의 병들’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주로 의사)의 이름을 갖는 열두 가지 질병의 발견역사를 다루고 있다. 현대인들이 두려워하는 알츠하이머병은 8장에 나온다. 1901년 독일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70억 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 공동소유 집(지구)을 보살펴야 한다’는
부제
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번 회칙은 종교적인 문제가 아니라 기후변화와 환경을 중심으로 인류가 직면한 위기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 노력을 촉구하고 있다. 회칙은 8개 언어 버전이 있는데 ... ...
“반역자가 돼야 과학을 할 수 있다”
2015.08.02
효과에서 군중규모 추산에 이르기까지 세상을 풀어내는 52가지 공식 이야기’란
부제
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일례로 뚱뚱하고 날씬한 사람을 나누는 기준인 ‘BMI(체질량지수)’는 벨기에의 통계학자이자 천문학자이며 수학자인 아돌프 케틀레에 의해 1870년 만들어졌다. 사람을 몸무게만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놀랍다는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다. ‘원유유출 이후(After the Oil)’이라는 제목 아래
부제
에 있는 ‘미묘한 상흔을 남겼다(has left subtle scars)’는 문구부터가 그렇다. 기사는 린다 후퍼-부이라는 곤충학자가 당시 오염이 심각했고 여전히 기름의 흔적이 남아있는 루이지애니 주 바라타리아만의 연안 ... ...
인간은 정말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할까
2015.05.25
이 책은 비르바우어 연구팀이 진행한 흥미로운 임상실험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책의
부제
처럼 ‘당신이 똑똑해지기 위해 알아야 할 뇌과학의 모든 것’을 담고 있다. 교통사고로 인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겪고 있는 환자를 데리고 광란의 질주를 하고, 전신마비 환자에게 뇌-컴퓨터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나타날 수 없다. 적어도 이는 진핵생물만의 독특한 특성이다”라고 쓰고 있다. 이 책의
부제
는 ‘진화의 10대 발명’으로 1장 ‘생명의 기원’이 ‘생명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한 것이라면 9장 ‘의식’은 ‘의식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에 대한 통찰을 주고 있다. 그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다룬 책임을 직감했다. 그런데 책 제목이 ‘Proof’로 좀 추상적이다. ‘증명이라...’
부제
는 봐도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the science of booze, 부즈가 뭐야?’ 효모에서 숙취까지 술에 관련된 모든 현상을 과학의 관점에서 해석한 책 ‘프루프’. 아마존의 ‘편집자가 뽑은 2014년 책’ ... ...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산책 (이일하 著, 궁리 刊) ‘21세기에 다시 쓰는 생명이란 무엇인가?’ 이 책은
부제
를 통해 정말 말하고자 하는 바를 담아냈다. 194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에르빈 슈뢰딩거가 쓴 ‘생명이란 무엇인가’의 오마주인 셈이다. 당시 슈뢰딩거는 DNA가 무엇이고 유전자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르던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08년 3월호 ‘과학동아’에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이란 기사를 썼는데,
부제
가 ‘눈치코치는 기본, 감수성에 모방학습까지 관여’였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의 인지과학자 그레고리 힉콕 교수는 지난 8월 출간한 ‘거울뉴런의 신화’에서 오늘날 심리학과 신경과학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