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ok
책
드럼
서적
Drum
하지
하계
뉴스
"
북
"(으)로 총 1,300건 검색되었습니다.
2023년 여름, 지난 2000년 중 가장 더웠다
2024.05.15
데이터로 확인한 대부분의 따뜻한 시기는 엘니뇨 현상이 주요 원인이었다. 엘니뇨는
북
반구의 여름 기온을 높이는 경우가 많다. 엘니뇨는 17세기 어부들이 처음 관측해 기록했지만 나이테 데이터에서는 엘니뇨 현상이 훨씬 더 오래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엘니뇨 현상은 2024년 ... ...
국내서도 태양폭풍 오로라 포착…아름다운 붉은색 '선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부른다. 이 오로라 타원체의 위치는 태양활동이 활발해 지자기폭풍이 강화될 때는 남
북
방향으로 확장한다. 오로라는 한국에서도 관찰된다. 5월 12일 새벽 한국 강원도 화천에서 아마추어천문가들이 오로라를 촬영했다. 또 강력한 태양 폭발이 지구를 덮쳤던 2003년 10월 30일 보현산천문대 전천 ... ...
올 4월 가장 더웠다…"지구온난화 탓 단정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날씨로 햇볕을 많이 받으며 한반도 기온을 높였다. 여기에 4월 필리핀 부근의 열대
북
서태평양 해상에서 엘니뇨가 쇠퇴하며 이 지역의 약한 대류가 필리핀 동부지역에 고기압성 흐름을 상대적으로 강화했다. 기상청은 이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따뜻한 남풍류의 바람이 유입되며 한반도를 ... ...
4월 과학의 달 전국 과학문화행사…'과학여지도' 보고 찾아가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3.31
20일 '구미가 땡기는 사이언스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이 밖에도 천체 관측, 과학
북
토크, 특별전시 등 전국에서 과학문화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전국 5개 국립과학관에서는 21일 '과학의 날' 전후로 무료입장 행사가 진행된다. 온라인에서도 과학문화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과학 전문 온라인 포털 ... ...
“황사비 조심하세요”…30일 이후 황사 계속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따라 한반도로 강하게 들어오고 있다. 28일 저녁 전국 대부분 비가 그치지만 29일 오전
북
쪽 기압골이 서해상으로 빠져나가며 중부지방과 일부 남부대륙을 중심으로 약한 황사비가 내리다가 그친다. 기압골이 한반도에 접근하며 하층에서 상층으로 올라가는 상승기류가 만들어져 황사 농도가 ... ...
"날씨에 영향 주는 '스톰트랙' 활동성 변화, 탄소 줄여도 복구되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3.26
않았다. 기후 모델의 예측 결과에 따르면 이산화탄소가 원래 상태로 돌아오더라도
북
반구 중위도 지역은 이전보다 스톰트랙이 강한 활동성을, 남반구 중위도 지역은 이전보다 약한 활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팀은 "탄소 배출 저감 등과 같은 미래 기후 정책을 설계하고 수립하는 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추분까지 반년 동안은
북
반구의 낮이 밤보다 길고 이런 조건을 장일(長日)이라고 부른다.
북
반구 중위도 지역에서 이 기간은 초봄에서 초가을에 해당한다. 낮 길이 변화는 지구 공전에 따른 현상으로 일정하게 반복되므로 이를 광주기(photoperiod)라고 부른다. 식물은 이 패턴에 적응하는 시스템을 ... ...
유독 잦은 것 같은 올 봄 꽃샘추위…"따뜻한 겨울 여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꽃샘추위는 봄에 접어들면서 세력이 약해진 ‘시베리아 기단’이 다시 기세를 부리며
북
서 계절풍이 불어와 시작된다. 시베리아 대륙에서 만들어진 시베리아 기단은 차고 건조한 성질을 갖고 있다. 봄이 되면 시베리아 기단에서 떨어져 나온 ‘이동성 고기압’과 중국 대륙에서 시작된 따뜻한 ... ...
70여년만에 온 '악마 혜성' 이달 육안으로 볼 수 있다
2024.03.12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은
북
반구다. 매시 부회장은 "맑은 저녁에 나가서 해가 질 무렵 서
북
서 쪽의 낮은 하늘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14세기에도 12P/폰스-브룩스가 관측된 것으로 보이는 기록이 남아있다. 혜성의 이름은 1812년에 이를 발견한 프랑스 천문학자 장 루이 폰스와 그 다음으로 혜성이 ... ...
[르포] 中·日 방사성 물질, 국토 최끝단서 감시…인력 부족 고충 토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최남단에서 국외 방사능 영향을 조기에 탐지하는 경계 임무를 수행 중이다. 국토
북
쪽 끝으로는 강원도 고성에, 서쪽 끝으로는 백령도에, 그리고 동쪽 끝으로는 독도에 방사선감시소가 있다. 국내 원전이나 대도시 근처에 설치된 감시소와 달리 국토 최외곽에 위치한 감시소는 국외에서 유입되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