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수
명인
강적
뉴스
"
상수
"(으)로 총 15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나이는 137억7천만년±4천만년"…허블
상수
논쟁 해결 난망
연합뉴스
l
2020.07.17
프린스턴대학 이론물리학자 폴 스타인하트 박사는 ACT와 플랑크 위성 자료로 도출한 허블
상수
값이 일치한 것은 "진짜로 중요한 획기적 사건"이라면서 표준촉광법을 이용해온 측에서 방법을 개선해 일치되는 값이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믿고있다고 했다. 그러나 표준촉광법을 주도해온 ... ...
중성자별 이중성계 관측해 우주 팽창속도 '고민' 푼다
연합뉴스
l
2020.07.09
허블
상수
를 측정할 수 있는 완전히 독립적인 방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면서 "이는 허블
상수
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두 방식의 측정 값 차이가 커 교착상태를 푸는 결정적 해법이 될 수 있다"고 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1877년). 구체적으로는 그 상태의 수의 로그값에 비례한다. 비례
상수
는 물론 볼츠만
상수
이다. 정성적으로 말해 미시적인 상태의 수가 증가하면 엔트로피가 커진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맑은 물이 담긴 통에 잉크 한 방울을 떨어뜨리면 시간이 한참 지난 뒤 전체 물이 흐려진다. 이는 잉크를 ... ...
한국 영원히 변치 않는 1kg 질량 기준 만들었다…美·加와·어깨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질량, 중력가속도, 전기, 시간, 길이 등 수많은 측정표준의 집합체다. 표준연 플랑크
상수
질량팀은 2012년 연구를 시작해 2016년 처음 키블저울을 설치했다. 당시 각 요소의 측정 불확도는 10마이너스6승 수준이었고 전체 측정 불확도는 10마이너스6승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연구팀은 2016년부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원자와 분자
2020.05.28
을 재정의했다면(이렇게 되면 아보가드로수에 오차가 생긴다.) 2019년 이후로는 자연의
상수
인 몰을 오차 없이 정의하고 그로부터 탄소12의 질량을 계산하게 된다. 이는 근본적으로 길이의 단위인 미터와 질량의 단위인 킬로그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학력고사를 보고 대학에 입학했던 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리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
2020.05.26
상태가 그녀에게 마법을 부린 듯했다. - 올리버 색스 ‘깨어남’에서 반년쯤 전에 서울
상수
역 근처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놀라운 광경을 목격했다. 일을 마친 뒤 점심을 하러 식당으로 가고 있는데 줄이 끝없이 늘어서 있었다. “무슨 일이죠?” “한정판 신발을 사려는 사람들이야.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05.09
지금도 더 정확한 값이 등장할 때마다 바뀌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정확한 허블
상수
를 구하기 위해 여전히 연구 중이다. 2020년 4월 기준, 가장 최근에 측정된 값은 2019년 3월 아람 리스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이 발표한 값이다. 기존에 우주에서 추정한 값인 67.4km/s·Mpc(메가파섹·1Mpc은 천문학적 거리 ... ...
'세상에 없던 문제'로 인류 지식·삶의 질 지평 넓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말했다. ●인류 지식의 지평 넓힐 과학연구도 도전 나선다 우주팽창과 관련된 '허블
상수
'라는 값은 가까운 은하가 지구에서 멀어지는 속도를 측정해 구한 값과, 우주 초기의 빛을 이용해 먼 우주에서 구한 값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 이는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는 우주 기원 및 진화 이론인 ... ...
인류 지식의 지평 넓히는 연구에서 소외된 한국 "이제는 우리도 뛰어들 때"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엘타워에서 열린 한국 과학난제도전 온라인 콘퍼런스에서 다중신호천문학을 이용한 허블
상수
갈등 해결 관련 연구 주제를 제안하고 있다. 윤신영 기자 ●92건의 '세상에 없던 연구'...암부터 우주, 진화까지 다양한 주제 다뤄...최종 5건 선정 예정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사업은 올해 3월 연 92건의 ... ...
호암상 과학상에 '중성미자' 연구자 김수봉 교수·공학상에 디지털영상 전문가 임재수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데 성공했다. 중성미자는 각각 3가지의 형태로 바뀐다. 변환 비율을 의미하는 변환
상수
를 정확히 알아내야 중성미자의 질량을 알아낼 수 있다. 임재수 교수는 디지털 영상기술 전문가로, 다양한 디지털 영상신호를 자동으로 구별해 디지털TV의 화면에 재생시켜주는 영산신호 전환기술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