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
묘사
진술
표현
암시
기재
표시
뉴스
"
서술
"(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ESC의 목소리 (11)] 합리적 질서 속의 평범함을 꿈꾸며
2017.03.26
정작 그 결정의 여파에 가장 취약한 계층 또한 청년과학인이다. 지금까지 구구절절
서술
한 문제의식을 드러내면 간혹 “그러면 너희들이 더 나서서 적극적인 의사 표명을 해라. 그러지 못한 너희의 책임도 있다” 라는 말을 들을 때가 있다. 이제는 아니리라 믿지만 그래도 혹시나 하여 미리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얼굴뼈도 턱뼈도 없고 골격을 이루는 뼈도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담담하게 사실만
서술
하고 있는 논문과는 달리 같은 호에 실린 기사의 분위기는 이번 발굴에 대한 고인류학계의 흥분을 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의 고인류학자 크리스 스트링어는 “논문 저자들을 뺀 모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알 수 있을 만큼 똑똑할까?’에서 동물 인지연구의 역사를 흥미로운 일화를 곁들여
서술
하고 있다. - amazon.com 제공 ● 동물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미국 에모리대의 저명한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의 2016년 저서 ‘우리는 동물들이 얼마나 똑똑한지 알 수 있을 만큼 똑똑할까?(Are we smart enough to know how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털을 연구해온 피부학자 커트 스텐은 이 책에서 털의 과학과 문화사 등 다양한 측면을
서술
했다. 털에 관련해 에세이를 몇 편 쓴 필자는 나름 털을 잘 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책을 읽으며 그 지식이 얼마나 단편적이었는가를 깨달았다. 책의 1장 ‘최초의 털’에서는 털의 구조와 기능, 진화를 ... ...
[카드뉴스] 눈결정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르네 데카르트입니다. 데카르트는 ‘기상학’에서 맨눈으로 관찰한 눈결정에 대해
서술
했습니다. 그 후 영국의 로버트 훅은 현미경으로 관찰한 눈결정을 직접 그려 저서에 실었습니다. 미국의 윌슨 벤틀리는 최초로 눈결정 사진을 찍는데 성공했죠. Q2. 눈결정에도 패턴이 있나요? 일본의 물리학자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리뷰논문들에 따르면 미세아교세포는 주로 시냅스를 먹어치운다. 따라서 메치니코프의
서술
을 약간 바꿔 “뇌가 줄어드는 건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를 파괴하기 때문”이라고 쓰면 최신 연구결과를 요약한 글이 된다! 물론 노화와 신경퇴행성질환이 항상 연결된 건 아니다. 미세아교세포는 ... ...
지극히 개인적인, 과학적 합리성의 3가지 요소
2016.10.15
밝히고 있으며, 자신들의 연구결과가 가지는 의미와 더불어 한계에 대해서도 명확히
서술
하고 있으니까요. ● 두번째, 지식의 생산과정에 대한 의심 제 분야에서 과학적 합리성을 구성하는 두번째 요소는 지식의 생산과정에 대한 의심입니다. 연구는 사회적에서 독립된 개인 연구자가 골방에서 홀로 ... ...
좋은 ‘오지랖’ 방식, 따로 있다
2016.09.13
아니면 장기적인 목표(long-term goal)를 함께 제시하는지, 해당 작업을 의미 없다는 듯
서술
하는지 아니면 어떤 의미를 발견하고 있는지, 우선순위가 낮은 일에 집중하고 있는지 아니면 우선순위가 높은 일에 집중하는지 등을 추론해보았다. 그 결과 단기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에만 치중하고 있는 작은 ... ...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
수학동아
l
2016.09.02
가르치고, 한국은 세부사항을 깐깐히 가르친다”고 말했다. 북한은 모든 시험 문제를
서술
형으로 낸다. 시험은 교사가 칠판에 10개 정도의 문제를 적으면 학생들이 빈 종이에 받아 적고 답안지에 풀이를 적어 제출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총 5점 만점이고 4.5점 이상이면 ‘최우등’, 2.5점 미만이면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읽고 나서다. 책에서 호킹은 자신을 유명하게 만든 루게릭병의 진행과정을 담담히
서술
하고 있는데 그런 일을 겪고도 명료한 정신을 유지하고 있는 호킹이 정말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942년 태어난 호킹은 옥스퍼드대학에서 조정 클럽에 가입해 키잡이를 할 정도로 운동신경에 문제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