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내기
구분
구별
뉴스
"
선별
"(으)로 총 1,701건 검색되었습니다.
65세 운전 규제 논란?…이유 있는 고령층 '셀프 운전 은퇴'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연구팀은 고령층이 운전 지속 여부를 주관적으로 판단하기 전에 알츠하이머 고위험군을
선별
하는 검사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봤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은 오랜 기간에 걸쳐 발병하며 10~15년간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질병이 진행돼 점점 인지기능이 떨어진다”며 ... ...
경도인지장애 조기 진단 위한 바이오마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평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ERP 측정으로 더 체계적이고 정밀한 치매 조기
선별
모델 개발이 목표”라며 “간단한 밴드형 뇌파 장비를 보건소, 한의원을 포함한 1차 의료기관에 보급해 건강한 고령사회를 견인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 ...
돼지 장기 이식받은 환자 생존기간 더 늘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19
장기 이식 전 검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병원균이다. 모히우딘 교수는 이식할 장기를
선별
할 때 더 민감한 검사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살아있는 사람에 대한 이종 이식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에 따라 환자의 생명이 위험하고 다른 치료법이 없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모히우딘 교수는 ... ...
"우울증 혼자 해결 가능"…우울한 성인 25%, 진료 의지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방치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울증 병력이 없고 우울증
선별
검사에서 양성인 사람 중 우울증 진단 시 병원 진료를 받을 생각이 있는 사람은 74.5%였다. 25.5%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생각이 없다고 답했으며 69.4%는 항우울제를 원한다고 응답했다. 진료를 받지 않으려는 이유는 ... ...
지역 성장 위해 과학기술 선택·집중…과기정통부, 체계 개편
동아사이언스
l
2024.05.14
있는 상황”이라며 “과학기술 지역 혁신 전략 방향을 제시해 지역 혁신기업의
선별
과 지원을 더욱 강화하고 지역 맞춤형 R&D 기획·지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특구 기념일을 지정해 매년 지역 과학기술 정책과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등 지역 혁신 주체들과 원팀이 ... ...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앞당기는 '데이터 렌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노이즈를 구별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향성을 원천 차단한다"며 "노동집약적인 신호
선별
과정을 없애면서도 분석 정확성은 높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기존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11개와 scLENS의 성능을 비교했다. 가장 널리 쓰이는 프로그램인 '쇠라(Seurat)'와 비교해 scLENS는 세포를 그룹화하는 ... ...
'응급실 뺑뺑이' 해결에 도움 줄까…AI가 '환자 우선순위' 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익명화한 뒤 AI 모델이 환자 기록을 기반으로 즉시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얼마나 잘
선별
할 수 있는지 평가했다. 개인정보보호 기능이 있는 보안 생성 AI 플랫폼과 생성형AI인 챗GPT 대형언어모델을 이용한 AI 모델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뇌졸중처럼 상태가 심각한 환자와 손목이 다친 환자처럼 덜 ... ...
어르신 일상 대화 분석으로 치매 고위험군 조기
선별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연구팀이 경기 안산시 상록구노인복지관 어르신을 대상으로 '노인 친화형 발화 데이터 수집 기기'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조기
선별
검사를 수행 ... 것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짧은 검사로 집에서 편리하게 경도인지장애 고위험군
선별
이 가능하도록 좋은 결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친구 추천'으로 정보 효과적 전파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연구팀은 네트워크의 모든 개인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지 않고도 최고의 전달자를
선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우정 추천'이라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나의 친구는 나보다 더 많은 친구를 가지고 있다'를 수학적으로 증명한 우정 역설(Friendship Paradox)을 토대로 한 알고리즘이다. 연구 ... ...
심장·뇌·콩팥에 약물 전달 가능한 '나노입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3
다양한 장기로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을 담은 연구 성과가 실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속표지.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장기에 직접 약물을 전달하는 나 ... 새로운 전략을 제시한 성과로 인정받았다. 장기 선택적 인공 탄수화물 나노입자(GlyNPs)
선별
및 평가 모식도. KAIST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