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수율
보수
수입
고정 수입
상품
상금
뉴스
"
수익
"(으)로 총 742건 검색되었습니다.
R&D성과로 정부에 내는 기술료 절반으로…연구자 보상 10% 상향조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하는 제도다. 국가 R&D에 참여하는 기업의 부담 요소로 지적돼왔다. 이번 제도개선으로
수익
대비 납부요율은 50% 하향 조정된다. 기업 규모별 조정된 납부요율은 중소기업 2.5%, 중견기업 5%, 대기업 10%다. 연구성과의 사업화에 성공한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연구자에게 지급되는 기술료 ... ...
"위성영상도 '뉴스페이스' 추세 따라야…국가위성 데이터 민간에 열어야 기술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활용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표했다. 그러면서 "민간 기업이 당장
수익
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고 기술 개발을 기획하고 수행하기 위해선 민간과 공공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人투더스페이스]⑪ "우주청, 규제기관과 민간기업 가교 역할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민간기업의 역할을 거듭 강조했다. R&D 역량을 확보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수익
을 창출해야 세계 무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 상무는 "진정한 의미의 우주 산업국이 되기 위해선 기술력과 양산능력을 모두 갖춰야 한다"며 "기술 확보 단계에선 민간과 정부가 상호 ... ...
"누리호 잇는 차세대 발사체·무인 달 착륙 사업 재고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대폭 높이지 못하면 사업을 멈춰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경쟁력이 없는 비싼 로켓은
수익
을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우주항공청이 5차 산업혁명을 불러올 우주 신산업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꼽은 분야가 '우주 데이터센터 위성 사업'이다. 그는 인공지능(AI) ... ...
"혁신·도전 R&D 못하는 이유는 'PM' 권한 약하기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에 참석한 토론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올해 정부가 고위험·고
수익
연구개발(R&D)로 혁신적인 과학기술 성과를 내겠다는 정책 방침을 세운 가운데 국내 연구자들은 이같은 혁신 도전형 R&D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선 연구책임자(PM)의 권한을 대대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 ...
[人투더스페이스]⑨ "우주청이 민간기업 뛰어놀 큰 미션 만들어주길"
동아사이언스
l
2024.05.17
산업처럼 취급해 육성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우주는 R&D에서 그치면 안되고 어떻게
수익
으로 이어갈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본다. 페리지를 비롯해 많은 우주 기업들이 시장에서 이익을 창출하도록 도와주면 좋겠다는 바람도 피력했다. 그는 "예를 들어 정부가 국내 우주기업 기술을 ... ...
100kg 이하 초소형 군집위성 쓰임새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개발됐다. 정부가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을 뜻하는 '뉴스페이스'에 맞춰 국내 우주기업의
수익
창출에 도움을 주겠다는 의도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값싼 상용 부품을 사용하는 등 개발비용을 줄이는 데 주안점을 두다 보니 위성의 사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
[人투더스페이스]⑥ "한국 우주개발, 달 착륙 이후 구체적인 목표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해야 한다. 국가의 우주기업 지원으로 기업의 가치가 상승하고, 기업은 우주에서 실현한
수익
을 재투자해 새로운 시장을 키우는 선순환 구조로 나아가야 한다. 우주항공청의 개청으로 국내 우주 경제 시대를 앞당길 민간 주도 우주개발 구조가 확립될 것으로 믿는다." Q. 정부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이 ... ...
국제우주정거장서 우주의학 실험…보령 '2024 HIS챌린지'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펀딩 모델도 예년과 달리 우수 실험 구현에 초점을 맞췄다. 펀딩 모델은 지식재산권(IP)
수익
공유를 염두에 둔 R&D 투자와 지분투자 두 가지로 만들어졌다. 선발된 스타트업은 우주정거장 내 실험 수행을 위해 25만 달러(약 3억 4000만원) 규모의 R&D 투자와 지분투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연구팀은 ... ...
우주 스타트업 코스닥 상장 '러시'…기술특례상장 높아진 문턱 넘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5.01
세운 전략도 비슷하다. 우주산업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국내 수요로 높은
수익
을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노스페이스는 설립 초기부터 수요의 90%는 해외에 있다고 보고 해외 시장 개척에 총력을 다해왔다. 해외 위성사, 대학교 등 총 4곳과 자사 발사체 '한빛'으로 다중 발사 서비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