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첩함
기민함
뉴스
"
신속함
"(으)로 총 1,75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AI 도구로 후보물질 4개월 만에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인공지능(AI) 도구를 활용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 후보 화합물 합성에 성공했다는 내용을 담은 홍보물. 인실리코메디신 제공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연구가 다시 한번 성과를 냈다. 미국 바이오기업 인실리코메디신은 한국 바이오기업 테라시드바이오사이언스와 협력을 통해 비알코 ... ...
해상도 25cm 최고 수준 쎄트렉아이 위성, 아마존 클라우드 지상국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발사 준비가 완료된 25cm 초고해상도 위성 ‘SpaceEye-T’. 쎄트렉아이 제공 국내 위성체계 개발 전문기업인 '쎄트렉아이'가 3월 발사 예정인 초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스페이스아이-티(SpaceEye-T)'의 지상국 시스템을 아마존웹서비스(AWS)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성공적으로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 ...
필수의료 법적 부담 덜어낸다…"의료사고 배상보험 보장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서울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중증·응급·외상·소아·분만 등 필수 진료행위 과정에서 발생한 의료사고의 배상 한도 보장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이하 의개특위)는 20일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 제17차 회 ... ...
환자단체 "의료공백 1년 환자 상태 악화…필수의료라도 살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지난해 7월 4일 환자단체 회원들이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사상 초유의 장기 의료공백이 이어지자 환자단체는 국회에 필수의료 공백방지 법안을 발의할 것을 촉구했다. 환자들의 피해를 보상하기 위한 법안 통과도 요 ... ...
원자로·핵융합로 재료 신속 평가…원자력연, 철 이온빔 서비스 국내 첫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19년 중이온빔조사시설(KAHIF)을 구축하고 2022년부터 아르곤(Ar), 헬륨(He) 등 중이온 빔 조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월부터 국내 최초 철 이온 조사 서비스를 개시한다. 원자력연 제공 원자로와 핵융합로에서는 핵반응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중성자가 시설 핵심 부품에 손상 ... ...
[의학바이오게시판] 제이엘케이, 딥러닝 기반 뇌출혈 진단 기술 특허 취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뇌졸중을 표현한 이미지. 뇌출혈이란 두개 내에 출혈이 있어 생기는 모든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출혈성 뇌졸중라고 부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제이엘케이는 뇌졸중 인공지능(AI) 솔루션에 활용되는 '딥러닝 기반 뇌출혈 진단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국내 기술 특허를 취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 ...
잉크·문신 표시 없이 초정밀 방사선 암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김동연 중앙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가 방사선 암치료를 하고 있다. 중앙대병원 제공. 환자의 몸에 잉크나 문신으로 표식하지 않고도 방사선 암치료를 할 수 있는 최신 선형가속기가 중앙대병원에 도입됐다. 중앙대병원은 방사선종양학과가 초정밀 방사선 암 치료기 ‘벌사 HD(Versa HD)’를 1 ... ...
3D 위암 모델, 약물 반응 높은 정확도로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약물 반응을 예측하는 3D 위암 모델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 환자의 약물 반응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3D(3차원) 위암 모델을 개발했다. 환자별 약물 반응을 예측하고 불필요한 약물 사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장진아 기계공학과·생명 ... ...
단백질 '4차 구조' 최대 1만배 빠르게 식별·비교 도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단백질 구조 비교 도구인 폴드시크-멀티머를 활용한 단백질 복합체 시각화 예시.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스위스 연구팀과 협력해 단백질 복합체 구조를 빠르게 파악하고 서로 비교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했다. 신약 개발을 가속하고 세포 지식을 확장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틴 스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⑤ 도파민 세포 추적해 파킨슨병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박찬익 휴런 부사장이 자사의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다. 휴런 제공 [편집자주] 의료기기는 통상 질병을 진단·치료·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엑스레이, 혈압계, MRI와 같은 장치·재료를 뜻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혁신성·안전성·유효성 등을 평가받아 지정된 ‘혁신의료기기’의 상당수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