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분규
혼란 국면
뒤엉킴
꼬임
뉴스
"
얽힘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20주년 맞은 인간게놈프로젝트(HGP)의 유산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경우에만 정밀의학의 잠재력을 끄집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종과 유전학의
얽힘
을 끝내야 한다 인간게놈지도가 발표된 이후 인종은 유전자에 기록된 자연적 구분이 아니라 사회적 구성을 뜻한다는 사실이 다시금 확인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인간게놈지도가 인종 사이의 유전적 ... ...
中, 하늘과 땅 4600km 걸쳐 양자암호통신 성공..."기술 집대성"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성공해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무쯔를 이용해 단일 광자 쌍을 만들고, 이들을
얽힘
상태로 구현한 뒤 1120km 떨어진 지상의 두 기지국에서 송수신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지상 기지국 사이의 거리가 2600km로 2배 이상 늘었다. 전송 속도도 향상됐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 ...
피라미드 꼭짓점에서 대칭성 유지하며 양자점 제어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13
문제를 해결했다”며 “상온에서 작동하는 질소화합물 반도체 양자점을 이용해 편광
얽힘
광자쌍 방출 소자와 같은 차세대 양자 광원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인 ‘나노 레터스’ 12월 9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웨어러블 의료기기에 비금속 전도성 고분자 활용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그 결과 PEDOT 양이온과 PSS 음이온의 결합력이 약화돼 상분리가 일어나면서 PEDOT 양이온의
얽힘
현상이 발생하면서 전기전도도가 높아졌다. 이렇게 만든 전도성 고분자로 생체전극을 만들어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기존보다 약 250배 높은 125.467지멘스퍼센티미터(S/cm)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 ...
속도 빠르고 안전한 양자 인터넷 구현에 필요한 양자회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저널 오브 라이트웨이브 테크놀로지’에 공개했다. 단일 광자가 1번 만들어질 때 양자
얽힘
상태인 광자 쌍이 700번 만들 수 있어 성능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연구진은 빛으로 정보를 전달할 때 손실이 적은 실리콘과 질화규소(Si3N4)를 이용해 빛이 지나가는 길인 광도파로를 이용해 CNOT ... ...
아이온큐 창업자 김정상 교수 "초능력 가까운 양자컴퓨터가 진화한 AI 만들 것 "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비유했다. 중첩은 관측 전에는 두 가지 이상의 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특성이다.
얽힘
은 두 양자가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특성이다. 지금의 컴퓨터는 0과 1이라는 디지털 개념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고 계산한다. 반면 양자컴퓨터는 양자물리학의 특성을 이용해 0과 1을 동시에 나타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화학 연구를 돕는 양자컴퓨팅
동아사이언스
l
2020.08.29
입자의 부호를 파꾸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또 양자역학 특성중 하나인 ‘
얽힘
’ 상태를 고도로 제어하고 시카모어 프로세서 하드웨어 성능을 측정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진은 “화학의 중요한 주제인 원자 결합과 이성질체 등 다양한 난제들을 양자 컴퓨터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길을 ... ...
정확도 높고 자원 소모량 줄인 '양자컴' 오류수정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얽힘
’이라는 양자적 상태를 이루는 ‘이종(하이브리드) 큐비트’를 만들었다. 양자
얽힘
은 여러 개의 입자가 양자역학적으로 연결돼 있는 현상이다. 그 뒤 이들을 이용해 여러 이종 큐비트가 얽힌 ‘클러스터’ 상태를 만들었다. 클러스터는 측정만으로 계산을 수행하는 ‘측정기반 ... ...
中, 서울-도쿄 거리 위성 양자암호통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있는 레이저의 특성 덕분에 성공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판 교수는 올해 연구에서는
얽힘
광자 쌍을 검출하는 효율을 높였다. 먼저 중국의 선전시 난산구와 여기에서 1120km 떨어진 더링하시에 양자실험을 위한 기지국과 지름 1.2m짜리 망원경을 각각 건설했다. 여기에 묵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 ...
"양자암호통신의 핵심은 '단일 광자'…생성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1
나왔는 지 알 수 있다. 도청이 불가능한 궁극의 통신기술인 양자암호통신은 이런 ‘양자
얽힘
성질’을 이용한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21일 서울 중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자협회∙Y-KAST 조찬포럼’에서 “양자암호통신은 절대 도청이 불가능한 안전한 기술”이라며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