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퇴
거역
퇴보
퇴행
뒷걸음
상반
불찬성
뉴스
"
역행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朴대통령 “北, 새로운 기술 악용해 원자력 시설 위협 가능성”
동아일보
l
2016.04.02
위해 수년간 의지를 갖고 함께 노력해 왔다”며 “그러나 북한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역행
하면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정면 도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북한이 2009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시설 접근을 차단한 뒤 국제사회에는 북한의 핵물질 생산과 축적, 관리 현황에 대한 정보가 거의 ... ...
[배트맨 VS 슈퍼맨] 저스티스리그는 어벤져스의 라이벌인가?
2016.03.24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후 , 은 떼 강도단을 만들어 원작에
역행
하는 짓도 합니다. 그래도 DC는 당당했습니다. 마블은 상대가 못되니까요. 그 당시까지는 말이죠! ● 마블의 약진에 놀란 DC 그런데 2002년 마블의 첫 극장 판 이 대박을 칩니다. 연이어 ... ...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작용을 일으키는 주성분인 THC를 발견했다. - 앨런 샤커포드 제공 이런 세계적인 조류에
역행
하는 나라가 한 곳 있었으니 바로 이스라엘이다. 이스라엘은 카나비스가 오랫동안 약용식물로 쓰인 역사를 인정해 카나비스 연구를 막지 않았고 그 결과 카나비스를 연구하고 싶어 하는 과학자들이 ... ...
‘빛의 타임머신’ 국내 연구진이 만들었다
2015.10.07
추적해 따라가는 요격미사일 개발 등에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시간
역행
거울이 기존의 다른 구현 방법보다 장비가 단순하고 시간도 적게 소요될 뿐 아니라 주변 환경의 영향도 받지 않아 이른 시일 내에 실제 응용에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박 교수는 “이 기술은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있는 도네가와 교수는 정말 보통 사람이 아닌가보다. 이런 경외감이 있었기에 ‘
역행
성 기억상실일 때도 기억흔적세포가 기억을 유지하고 있다’는 알쏭달쏭한 제목의, 7쪽이나 되는 난해한 논문을 끝까지 읽을 수 있었다(물론 내용을 이해했는가는 별개의 문제다). ● 기억은 사라지는 것인가, ... ...
[미래를 듣는다 7] “‘울산의 눈물’ 막을 길은 과학기술 혁신과 도전”
2015.04.27
사교육비를 줄이려면 공교육을 정상화해야죠. 과학교육 시수를 줄인 것은 국가 발전에
역행
하는 처사입니다. 반면 소프트웨어(SW)를 정규 교과로 채택하겠다는 정책은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21세기에는 과학교육과 더불어 소프트웨어 교육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 국가 발전을 위한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 ▼ 과학수업 축소는 미래인재 육성에
역행
한다 ▼ 정진수 충북대 물리학과 교수 기초과학학회협의체 교육과정대책위원 합리적인 교육과정 개정을 바라는 과학계의 요구가 밥그릇 챙기기로 곡해당하고 있다. 과학계가 초중등 과학 교육에서 ... ...
절전? 가정용 전기부터 절약하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08
국민을 위한 절전캠페인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전기 절약에
역행
하는 나쁜 가전 제품도 많지만, 가전 제품이 많이 똑똑해지고 있다. 스마트한 가전 제품의 스마트한 기능을 잘 활용하면, 가족의 고통과 불편함 없이 전기를 효율적이고 지속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 ...
맛 때문에 나트륨 많은 라면 허용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5.12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 “현실 반영한 것” vs “나트륨 줄이자는 추세
역행
” 앞서 언급했듯이 이번 논란의 핵심은 컵라면에 대한 나트륨 함유량 완화에 있다. 현재 기준은 1회 제공량당 600mg 이하 함유인데, 이 기준이 ‘1000mg 이하’로 변경되는 것이다. 식약처는 이에 ... ...
어린이 컵라면 나트륨 함량 기준 ‘역주행’
동아일보
l
2013.05.10
부회장은 “세계적으로 나트륨 줄이기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식약처가 시대를
역행
하는 조치를 취했다”며 “나트륨 기준을 완화해 라면의 맛을 향상시키기보다는 다른 재료나 향신료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반박했다. 허혜연 녹색소비자연대 녹색식품연구소 부장은 “식약처가 제시한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