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5,082건 검색되었습니다.
[재생의료 최전선]⑨ 세포 융합으로 병든 세포 되살려 난치병 '완치'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 Q. 큐라미스가 지향하는 치료 패러다임 전환은 어떤 모습인가. "바이러스 전달 기반
유전자
치료제는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에 유망하지만 지속성 한계와 면역 반응 위험에 부딪히고 있다. 큐라미스는 세포 융합 기술로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 줄기세포와 환자 세포를 직접 결합시켜 ... ...
피 한방울로 알츠하이머·파킨슨·암 다 진단하는 시대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현장에서도 기술 흐름에 발맞춘 상용화 움직임이 활발하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폐암
유전자
돌연변이를 극소량의 혈액으로 탐지하는 ‘EV-CLIP’ 기술을 개발해 병원용 키트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암·감염병 조기 진단용 나노센서를 개발해 피 한 방울로 다양한 질환을 ... ...
[동물do감] 짝짓기 관심 있는 암컷 초파리, 소리에 민감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위치한 소리 신호 감지 기관인 ‘존스턴 기관’의 신경세포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팀은
유전자
발현 분석 기술인 ‘단일 세포핵 RNA 시퀀싱’을 이용해 조스턴 기관에서 발현되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존스턴 기관 신경세포에서 세 가지 유형의 도파민 수용체가 풍부하게 ... ...
50만명 유전체 정밀 분석 완료…변이만 15억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중 단백질을 만드는 부위만 읽는 방법이다. 단백질을 만드는 부위는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를 찾는 데 결정적인 힌트를 준다. 두 방법 모두 희귀한 변이나 단백질을 만들지 않지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부위를 읽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크기가 큰 구조 변이를 파악하기도 어렵다. WGS를 ... ...
음악을 들어도 감흥 느끼지 못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유전학자들과 협력해 음악 무쾌감증에 관여하는
유전자
식별 연구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음악 무쾌감증이 타고난 형질의 영향을 많이 받는지, 평생에 걸쳐 변화할 수 있는 것인지 규명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음악 무쾌감증이 발생하는 뇌 메커니즘에 대한 ... ...
촌충 감염 치료제에서 노쇠 완화 효과 규명…'약물 재창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등 주요 골격은 근육량을 유의미하게 회복시키고 골격근 내 세포 노화 지표로 알려진
유전자
인 p16, p21, p53 발현을 줄였다.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를 개선해 에너지 대사 기능을 향상하기도 했다. 니클로사마이드는 노화로 과활성화된 단백질 복합체 mTORC1의 신호 경로를 조절해 근육단백질 분해를 ... ...
악명 높은 '교모세포종' 줄기세포 면역치료 길 열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안스데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임상 모델에서의 치료 효과 검증을 넘어 줄기세포
유전자
치료와 진료현장에서 사용 중인 면역관문억제제의 기전적 상호보완성과 시너지 효과를 증명했다”며 “면역기억 T세포 유도에 기반한 장기 항암 면역 반응은 향후 재발 방지에 중요한 기전이 될 수 있어 ... ...
에탄, 온실가스 줄이고 플라스틱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동시 산화(co-oxidation)’ 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메탄 분해 효소의 구성
유전자
인 'pmoA'의 전사량은 변하지 않았지만 메탄 소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재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메탄산화균이 메탄과 에탄이 혼합된 실제 환경 조건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처음으로 규명한 ... ...
AI가 설계한 단백질, 차세대
유전자
교정 효율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효율만 높이는 게 아니라 안정성도 확보했음을 보여준다. 연구팀은 "AI를 활용해
유전자
교정 효율을 높이는 초소형 단백질을 설계하고 효과를 동물 모델에서 입증한 최초의 사례"라고 강조했다. - doi.org/10.1016/j.cell.2025.07.010 ... ...
미세플라스틱, 단백질에 붙어 뇌세포 기능 해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단순한 물리적 자극을 넘어 세포 수준에서의 본질적인 기능 손상을 유발했다. 염증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고 세포 신호 전달과 생리 기능을 저해한 것이다. 단백질 흡착 미세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체내에 축적되면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