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리내
갤럭시
은하
하한
하순
뉴스
"
은하수
"(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수
와 진운과 천둥과 우주 정거장
팝뉴스
l
2017.01.29
옅은 구름처럼 보인다.
은하수
(milky way)는 우리가 사는 지구가 속한 은하의 이름이다.
은하수
이다. 수십억 개의 별들이 어우러져 신비로운 빛을 내고 있다. 대기광(air glow)은 태양 빛을 받았던 지구의 대기가 내는 흐릿한 빛이다. 사진 오른쪽 아래에 보면 벼락(lightning)이 치고 있는데, 흥미로운 것은 그 ... ...
“스마트폰 하나면 나도 과학자”…시민 과학의 힘!
동아사이언스
l
2017.01.13
시민들이 NASA의 은하 탐사 위성 ‘와이즈(WISE)’의 영상을 분류하는 ‘
은하수
프로젝트’를 활용해 차가운 성운의 물리적 특성을 밝혀 지난해 7월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주니버스에는 크라우드 소싱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류해 연구의 효율을 높이는 ... ...
오늘 밤 11시 별이 비처럼 쏟아진다?...유성우 그것이 궁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3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성질 급하신 분이라면 실망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은하수
가 보일만큼 빛이 없고 어두운 지역에서는 1시간에 약 120개의 유성을 관찰할 수 있다고 하는데 밤에도 불이 환한 대한민국 대도시 근처에서는 그런 일을 기대하기 힘듭니다. 요즘은 미세먼지 때문에 ... ...
[카드뉴스] 2017년 주목해야하는 천문현상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2
극대기는 3일 밤 11시경으로, 국내에서는 달이 지고난 뒤라 유성이 잘 보일 전망입니다.
은하수
가 보일만큼 빛이 없고 어두운 지역에서는 1시간에 약 120개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유성우를 볼 기회는 10월에도 찾아옵니다. 매년 10월 중순경 관측되는 오리온자리 유성우인데요. 올해는 10월 21일 ... ...
인간은 얼마나 작은 존재인가?
팝뉴스
l
2016.12.29
우리 은하의 별들이다. 그런데 우리가
은하수
를 본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다. 우리는
은하수
의 일부 중에서도 일부만을 본다.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회자되면서 충격(?)을 주는 위 사진이 그것을 설명한다. 우리는 태양계 주변의 별을 조금 보고 있을 뿐이다. 노란 원에 있는 별이 눈에 들어온다. ... ...
별이 비처럼...“새해 1월 밤 유성우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3일 밤 11시경으로, 국내에서는 달이 지고난 뒤라 유성이 잘 보일 전망이다.
은하수
가 보일만큼 빛이 없고 어두운 지역에서는 1시간에 약 120개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다. 10월 오리온자리 유성우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유성우를 볼 기회는 10월에도 찾아온다. 매년 10월 중순경 관측되는 ... ...
유성과 별이 수놓은 핀란드의 밤하늘
2016.11.26
밤하늘의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잘 보여준다.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모습도 포착되었다.
은하수
와 별 그리고 유성이 밤하늘을 수놓는 동안, 일렁이는 바다도 낮게 빛을 내고 있다. 핀란드의 밤하늘과 밤바다가 갖는 아름다움이 화려한 색감으로 표현되었다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바벨 탑’ 이전으로 돌아갈 인류에겐 어떤 미래가?
2016.11.26
넣으면 모든 언어가 다 동시 통역되는 보청기형태의 기기도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은하수
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등장하는 바벨 피쉬 - 터치스톤 픽쳐스 중요한 것은 이번에 GNMT로 업그레이드된 구글 번역 서비스가 분명 그러한 기술적 진보로 가는 하나의 전기임에는 틀림 ... ...
팬심으로 똘똘 뭉쳤다! 어린이과학동아 팬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01
그런데 놀라지 마~. 다른 모둠들은 더 높은 탑을 만들었거든. 이혜림 작가님 모둠은 118cm,
은하수
작가님 모둠은 128cm, 김문식 작가님 모둠은 무려 152cm의 탑을 완성했단다. 최고 기록을 세운 김문식 작가님 모둠의 친구들은 멋진 보드게임을 선물로 받았어. 으아, 부럽다~! 무너지려는 탑을 간신히 ... ...
고려시대 시조 읽으며 별자리 연구하는 ‘고천문학’ 과학자
2016.10.10
양 연구원은 “시조가 쓰인 시간은 삼경(밤 11시~오전 1시)이며, 이 시간에 보름달이 뜨고,
은하수
가 또렷이 보이는 천문지도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분석하면 1305년 4월 11일 밤 개성에서 쓴 걸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양 연구원도 1996년 처음 고천문학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문헌 분석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