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20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감귤나무 떼죽음 원인 ‘황룡병’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반응이 더욱 억제됐다. 연구팀은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PUB21 단백질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하는 부위와 MYC2 단백질의 결합 부위가 황룡병 저항성의 핵심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PUB21 단백질을 활성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MYC2의 분해를 막고 황룡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할 수 ... ...
봄철 골칫덩이 알레르기 질환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알레르기 항원을 소량씩 투여하여 면역 체계를
조절
하는 방식이다. 면역요법은 최소 3~5년 간의 치료가 필요하다. 질환에 의한 증상을 완화시키고 치료 약물의 사용량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면역요법은 알레르기 비결막염, 천식, 벌독알레르기, 아토피 ... ...
'사이버불링' 겪는 뇌, 전쟁터에 있는 것처럼 반응
과학동아
l
2025.04.12
dcn.2023.101247) 연구팀은 사이버불링을 경험한 경우에 뇌의 피질 일부, 특히 기억과 감정을
조절
하는 핵심인 해마의 부피가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이런 사이버불링의 영향 역시 우울증과 불안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고 피해자가 대인 관계에서 점점 위축되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도 있다. 도파민 ... ...
"파킨슨병 10명 중 4명은 1년 이상 방치…'느림보 걸음'이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진단 지연과 더불어 진행 악화를 억제하는 재활 요법의 발전, 근본적 치료제인 질환
조절
제의 개발 가능성 등이 조기 진단이 필요한 이유“라고 덧붙였다. 파킨슨병 환자가 늘고 의료비가 급증하고 있지만 파킨슨병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하다. 천상명 KMDS 부회장은 ”파킨슨병 환자 10명 ... ...
면역반응의 ‘두 번째 과정’…최적 T세포만 골라 활성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T세포의 재활성화 메커니즘은 만성 감염이나 암과 같이 면역 반응이 반복적으로
조절
되는 질환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키메라항원수용체T(CAR-T) 세포 치료와 같은 면역세포 기반 항암요법에서 왜 특정 치료가 효과적인지, 왜 실패하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1mm³에 5.4km의 신경세포 연결...쥐 뇌구조와 연결 상세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이번에 밝혀진 뇌 구조와 기능 데이터셋에선 억제 뉴런이 특정 흥분 뉴런을 선택적으로
조절
하며 더 정밀하게 뇌 회로를 조율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일부 억제 뉴런은 여러 흥분 뉴런의 작동을 동시에 억제했다. 다른 일부는 특정 유형의 뉴런만을 정확하게 겨냥했다. 뇌 신호의 정합성과 정보 ... ...
100년 만에 풀린 물리학 퍼즐…단일 입자 내 파동에너지 완벽 속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증명했다. 원통형 입상(granular) 결정으로 공진기를 만들고 공진기 사이의 접촉면을 정밀
조절
해 파동끼리 결합하는 현상을 제어하자 단일 입자에서 외부로 에너지 방출이 사라지는 BIC가 구현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은 1000 이상의 품질 계수(Q-factor)를 기록했다. 품질 계수는 에너지가 ... ...
첨가제 하나로 리튬 금속 전지 짧은 수명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비불소계 나노 질화규소를 전해질에 첨가해 리튬 이온의 용매화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
했다. 또 무기물이 풍부한 안정적인 고체전해질 계면 층을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 질화규소는 전해질의 분해로 발생하는 부식성 불화수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해 양극 부식을 억제했다. 고전압 환경에서도 계면 ... ...
면역항암 방해 핵심인자 찾았다…폐암 새 치료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분화가 유도됐다. 조광현 교수는 "폐암세포가 면역회피능력을 획득하게 하는 핵심
조절
인자를 처음으로 찾아내 이를 제어했다“며 ”면역회피능을 되돌려 면역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던 암의 반응을 유도해 낼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한 것이 이번 연구의 주요 성과”라고 말했다. ... ...
손상된 뇌 치료길 열리나…신경세포 복구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기술을 이용하면 새로운 세포를 켜거나 끄면서 운동 제어에 중요한 뇌 네트워크를
조절
할 수 있다”며 “헌팅턴병과 같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16/j.celrep.2025.11544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