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뉴스
"
차이
"(으)로 총 4,91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핵융합로 시뮬레이션 속도 1000배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UNIST 연구팀이 개발한 AI 모델의 플라즈마 확률 밀도 함수 예측값과 실제값 사이의
차이
를 비교한 그림. UNIST 제공 FPL-net은 기존 반복 계산법과 달리 한번에 방정식의 해를 구한다. 테스트 결과 기존 방법보다 약 1000배 빠른 속도로 해를 구할 수 있었다. 예측 결과의 상대오차(Relative Error)는 10만분의 ... ...
사행 제트기류로 기습 한파…"지구온난화로 흔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이 흐름을 사행이라고 한다 제트기류는 북극과 중위도의 온도
차이
가 줄어들수록 약해진다. 최근 북극이 다른 지역보다도 평균 2~4배 빠른 속도로 따뜻해지는 고온 현상 때문에 중위도와의 온도 차가 줄어 제트기류는 더 약해지고 남북으로 구불구불 물결친다. 이때 제트기류가 ... ...
[동물do감] 꿀벌 닮은 호리꽃등에, 암컷이 더 멀리 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이동하는 개별 곤충을 추적하지는 않았다. 다만 두 지점의 성별 개체 수가 확연한
차이
를 보인다는 점에서 암컷이 남유럽으로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했다. 연구팀은 “암컷이 더 잘 이동하는 이유는 불분명하다”며 “수컷은 싸움과 교미를 우선시하기 때문에 이동 시 필요한 에너지가 ... ...
장소 기억하는 바다거북의 비밀…'거북춤'도 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연구팀은 이를 ‘거북춤’이라 명명했다. 연구팀은 "거북춤은 바다거북이 자기장의
차이
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먹이와 연관된 특정 자기장을 기억하고 학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바다거북이 자기장을 활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하나는 방향을 찾는 ‘자기 ... ...
원안위, 올해 SMR 심사 지침 마련 중점…원전 계속운전도 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68종의 SMR이 개발 중이다. SMR은 대형 원전과 사용 물질이나 안전계통 설계가 달라 규제에
차이
가 발생한다. 원안위는 2022년부터 i-SMR 개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설계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사전설계검토는 표준설계인가 심사 결과에 영향을 주진 않지만 본심사 과정에서 사전설계검토 ... ...
'침묵의 살인자' 췌장암, 혈액검사로 조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만큼 특정한 암 신호를 감지하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했지만 놀랍게도 아주 뚜렷한
차이
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의료현장에 폭넓게 도입되기 위해선 민감도를 더욱 개선해야 한다고도 ... ...
[특별기고] CES서 현실이 된 AI와 '딥시크' 충격, 우리는?
2025.02.11
놀라곤 했던 베네시안에서는 한국 스타트업들이 돋보였고 대기업들간의 '미래 전망의
차이
'가 보였던 센트럴홀에서는 중국 기업들의 약진이 놀라웠다. 맨눈으로도 한국 TV의 화질에 못 미쳐 보이던 몇 해 전의 중국 TV가 아니었다. 디바이스나 단일 제품의 완성도도 인상적이었지만 그런 제품들을 ... ...
고분자 응집력 강화하는 법, 홍합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이온화 상태로 존재하는 중성 환경과 비이온화 상태로 존재하는 산성 환경에서 응집력
차이
를 분석했다. 그 결과 중성 환경에서는 음이온-π 상호작용이 주된 결합력으로 작용하며 고분자의 응집력이 크게 증가했고 산성 환경에서는 수소결합이 주요한 역할을 하면서 응집력이 상대적으로 ... ...
새로운 자극, 뇌속 '메아리'로 식별…"조현병 치료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유스테 교수는 "참신성은 일어날 것으로 예측한 사건과 실제로 일어난 사건 사이의
차이
"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쥐에게 익숙한 자극과 새로운 자극을 혼합해 제공하면서 반응을 살폈다. 다양한 음높이의 소리를 들려주며 소리 정보를 처리하는 쥐의 청각 피질을 영상화하는 방식이다. 실험 결과 ... ...
박테리아, 우주탐사 걸림돌에서 동반자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있다. 우주는 중력이 거의 없는 미세중력 환경이기 때문에 지구의 실험실 환경과는 큰
차이
가 있다는 점은 변수다. 지구에서는 유용했던 박테리아가 미세중력 환경에서는 활용도가 크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비행사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도 과제다. 박테리아는 예기치 못한 변이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