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92건 검색되었습니다.
SMR보다 더 작은 '마이크로원자로' 온다…"극한환경에서 전력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8
기존 원자로와 비교했을 때 필요한 부대설비가 적은 것이 큰 장점이다. 대형 원전은
출력
량은 높지만 보통 원자로 냉각에 해수가 필요해 건설 위치가 바닷가로 제한된다. SMR은 해수가 아닌 자연 대류 현상을 이용해 원자로를 식히기 때문에 수요지 근처에 건립할 수 있다. SMR은 대형 원전에 비해 ... ...
[과기원NOW] 포스텍, 복털조개에서 강력한 접착력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전극 구조를 설계해 높은 효율성을 구현했다. 기존 마찰전기 나노발전기(TENG)의 전기
출력
안정성 문제와 기계발광(ML) 소재의 빛 지속 시간 부족 한계를 극복했다. ... ...
유튜브 영상을 즉시 입체로…고성능 홀로그램 전환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개발한 디지털 홀로그래피 미디어 프로세서(RHP)를 통해 3차원(3D) 풀컬러 홀로그램이
출력
되고 있다. ETRI 제공 연구팀은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적용해 홀로그래피 생성을 위한 모든 하드웨어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 방식으로 홀로그래피 미디어 프로세서를 제작했다. 프로세서는 2D 동영상의 3원색 ... ...
모든 원전 사고 대응 ‘사고관리계획서' 10년만에 국내 첫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안건에 올라 논의된 지 4번만이다. APR1400은 기존 한국 표준형 원전인 OPR1000을 개량해
출력
량은 1000메가와트(MW)에서 1400MW로, 설계수명은 40년에서 60년으로 늘린 모델이다. 현재 가동 중인 원전 중에서는 울산 울주군에 있는 새울 1·2호기와 경북 울진군에 있는 신한울 1·2호기가 해당한다. ... ...
한울 4호기 임계 허용…원자로 헤드 교체 적합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임계 전까지 수행할 81개 항목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고 임계를 허용했다. 이후 원자로
출력
상승시험 등 후속 검사 10개를 진행하며 안정성을 최종 확인한다 ... ...
장비 스스로 결함 개선…AI 기반 금속 3D프린팅 제어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성상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레이저
출력
, 적층 속도 등 공정 변수가 적절하지 않으면 결과물에 균열, 기공 등 결함이 발생한다. 연구팀은 구형 금속 3D 프린팅 장비에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애드온(Add-on) 모듈'을 개발했다. 다양한 센서와 결함 ... ...
한울 2호기 임계 허용…화재 방호 상태 중점 점검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임계 전까지 수행할 85개 항목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고 임계를 허용했다. 이후 원자로
출력
상승시험 등 후속 검사 10개를 진행하며 안정성을 최종 확인한다 ... ...
햇빛으로 자가 충전하는 국내 첫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등 전이금속 이온을 추가해 전극의 전도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했다. 그러자 에너지 밀도,
출력
밀도, 충‧방전 안정성 면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성능이 대폭 향상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슈퍼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는 35.5Wh/kg(킬로그램 당 킬로와트)⁻¹로, 기존 연구 결과인 5~20Wh/kg⁻¹와 비교해 ... ...
고리 4호기 임계 허용…냉각수계통 중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2.17
94개 항목 중 원자로 임계 전까지 수행할 84개 항목에 대한 검사를 진행했다. 이후 원자로
출력
상승시험 등 후속 검사 10개를 진행하며 안정성을 최종 확인한다 ... ...
일상 움직임으로 웨어러블 기기 충전하는 에너지 수확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원리를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이 시스템을 여러 개 직렬로 연결하면
출력
전압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실제 이 시스템은 계산기를 작동시킬 수 있을 정도인 935mV(메가볼트)의 전압을 달성했다. 저전압 기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장치에 적용 가능한 수준이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