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계도
도표
도면
투시도
배선도
겨냥도
수평투상
뉴스
"
평면도
"(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韓·中 연구팀. 30여년간 못했던 '오목한 탄소 소재'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로드니 루오프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왼쪽)과 얀우 추 중국 과학기술대 교수. IBS 제공 한국과 중국 공동연구팀이 음의 곡률을 가져 오목한 형태를 띠는 새로운 탄소 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소재는 상온에서는 반도체, 저온에서는 금속의 성질을 갖는다. 이론으로만 예측됐던 이상 ... ...
[프리미엄 리포트] 마법으로 되살아나는 꿈의 소재 '트위스트로닉스'
과학동아
l
2022.10.29
과학동아DB 얼마 전까지만 해도 MZ세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단연 골프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테니스가 골프를 추월했다고 합니다. 유행이란 이렇게 빠르게 왔다가 떠나가곤 합니다. 라이덴 클러스터를 통해서도 과학계 유행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신소재로 주목받던 그래핀의 인기는 시 ... ...
3억8천만년 전 심장 3D로 간직한 원시어류 '희귀' 화석 발굴
연합뉴스
l
2022.09.16
턱 가진 유악류 척추동물 내장 진화 단서…最古 화석보다 2억5천만년 더 오래돼 [Yasmine Phillips, Curtin Universit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약 3억8천만 년 전 고생대 데본기에 번성했던 원시 어류인 판피류(Placoderms)의 심장 화석이 3차원(3D) 상태로 온전하게 발굴돼 학계에 보고됐다. 심장 ... ...
[주말N수학] 3D애니메이션으로 수학 대중화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08.20
니콜라이 안드레예프 스테클로프수학연구소 수학대중화연구소 소장. 수학 에뛰드(Mathematical Etudes) 제공 수학의 재미를 알리기 위해 앞장서는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2022 릴라바타상 수상자 니콜라이 안드레예프 러시아 스테클로프 수학연구소의 수학 대중화연구소 소장인데요. 안드레예프 소장은 2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친환경 용매'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19
석상일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은 ‘에탄올 기반의 용매’에 ‘페로브스카이트’를 용해해 코팅하는 방법으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석상일 에너지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이 ‘에탄올 기반의 ... ...
[김영훈 교수가 설명하는 허준이 교수 업적] 허준이,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
2022.07.05
2022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동아DB 올해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고등과학원 교수)의 연구 분야를 한마디로 말하면 ‘조합 대수기하학’이라고 한다. 방정식들로 정의되는 기하학적 공간을 연구하는 대수기하학을 통해 조합론의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는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7.05
2022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동아DB 한국계 수학자로 첫 필즈상 수상 영예를 안은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39· 고등과학원 석학 교수)는 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 통계학과 명예교수와 어머니 이인영 서울대 노어 ... ...
반도체 한계 넘는 고집적 2차원 반도체 소재 기술 세계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실제 합성된 원자 3층 두께의 육방정계 질화붕소를 실리콘 웨이퍼에 옮긴 모습이다. 신현석 교수 제공. 신현석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연구팀이 현재 공정으로 집적도를 더 이상 높이기 어려운 반도체의 물리적 한계를 넘는 대안으로 주목받는 2차원 반도체 소재로 고집적 반도체를 구현할 수 있 ... ...
자세히 봐야 보이는 벼룩보다 작은 0.5㎜ 초소형 로봇 개발
연합뉴스
l
2022.05.27
'팝업' 기술과 형상기억합금 활용…다양한 형태· 크기 로봇개발 가능 [Northwestern Universit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벼룩보다 작아 자세히 들여다봐야 볼 수 있는 초소형 로봇이 개발됐다. 폭이 약 0.5㎜밖에 안 돼 지금까지 개발된 원격조정이 가능한 보행 로봇으로는 가장 작은 것으로 제시됐다. ... ...
[2022 필즈상 후보] (6) 미분기하학의 기대주 쑨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수학동아
l
2022.04.16
쑨쏭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 교수. 2018 세계수학자대회 유튜브 캡처 올 7월 6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릴 예정이던 세계수학자대회(ICM)가 무산됐습니다. 국제수학연맹(IMU)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항의해 러시아에서 열릴 예정이던 이 대회를 취소했습니다. 대신 온라인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