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3,96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왕립학회 회원들 "일론 머스크 회원직 박탈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2.16
리처트 피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에서 활약한 행동과
학자
수잔 미치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교수 등을 비롯해 1700명 이상이 서명했다. 회원들은 서한을 통해 학회가 최소 6개월 전부터 회원들의 우려를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강력한 유령입자 '중성미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2.15
거의 없다. 성질을 밝혀내기 이전에 존재를 확인하는 것조차 매우 어렵다는 뜻이다. 과
학자
들은 중성미자를 간접적인 방법으로 연구한다. 중성미자가 매우 낮은 확률로 물 입자 등과 부딪쳐 상호 작용할 때 발생하는 이차입자(secondary particle)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차입자 종류는 '뮤온', '전자', ... ...
韓 참여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28일 발사…"은하 전체 관측해 외계생명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모두에게 공유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공식적인 연구 참여자뿐 아니라 한국 천문
학자
들만의 과학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스피어엑스의 관측 데이터는 2달 간격을 두고 전세계에 모두 공개될 계획이다. 스피어엑스 우주망원경 관측을 통해 얻어질 적외선 3차원 우주지도 및 관측 ... ...
2032년 지구 충돌 예상 소행성, 충돌 확률은 '들쭉날쭉'
동아사이언스
l
2025.02.09
통해 불확실성이 낮아지면 충돌 확률도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천문
학자
들은 2024 YR4의 향후 충돌 확률이 0에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현시점에서 충돌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보고 있다. 다만 다른 소행성보다는 상대적으로 충돌 확률이 높아 NASA와 ESA는 2024 YR4의 움직임을 진지하게 ... ...
과
학자
들이 찾은 '완벽한 달걀 삶기'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시도됐다. 대표적으로 프랑스의 분자요리
학자
에르베 티스가 2002년에 제안한 '수비드 방식'이 있다. 65°C의 따뜻한 물에서 약 한 시간 동안 달걀을 천천히 익히는 방법이다. 노른자의 질감을 부드럽게 만드는 방법이다. 하지만 흰자가 완전히 응고되지 ... ...
"양자과학기술, 실용성에만 투자 안타까워…본질 탐구 선행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명예교수는 양자과학 교과서에도 있는 기본 이론인 'Hong-Ou-Mandel 효과'를 밝혀낸 원로 과
학자
다. 양자컴퓨터와 양자암호 등 양자 기술 전반에서 활용되는 이론이다.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학회장은 "홍 교수는 전세계 양자과학을 하는 사람이라면 다 알고 있는 분"이라며 "양자 ... ...
시민과학에도 AI 접목…'지구사랑탐사대 2.0' 플랫폼 오픈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jisatam.dongascience.com/main AI 기반 시민과학 플랫폼 '지구사랑탐사대 2.0'의 AI가 시민과
학자
가 올린 사진에서 생물종이 있는 위치를 스캔하는 모습. 동아사이언스 ... ...
구글도 투자한 美 유망 유전체 분석기업이 몰락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분석했다. 23앤드미의 DNA 검사키트가 일회성이라는 게 한계로 지적됐다. 생명윤리
학자
인 행크 그릴리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한번 검사키트를 사용해본 사람은 다시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23앤드미는 조상을 찾는 유전자 혈통 검사키트를 제공한다. 한번 이를 사용해본 ... ...
2032년 지구 충돌 가능성 1.2% 소행성 발견…최대폭 100m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좋은 방법은 가능한 오랜 시간 소행성을 추적하며 궤도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과
학자
들은 올해 1월 초부터 2024 YR4를 우선적으로 관측하고 있다. 2024 YR4는 매우 길쭉한 타원 궤도를 따라 움직이며 지구로부터 거의 직선으로 멀어지고 있어 궤도 파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소행성이 지구 ... ...
[미리보는 노벨상]① 인류 최대 도전 '기후위기', MOF가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25.02.01
1차원, 2차원 구조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다차원 구조를 설계하는 개념은 그 시기의 과
학자
들에게 생소했습니다. 학계의 관심을 이끈 것은 1995년 야기 교수가 발표한 MOF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연구였습니다. 유기 리간드는 금속 이온에 전자쌍 전체를 제공하는 '배위결합'을 통해 화학 결합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