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29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KISTI-유네스코, 오픈 사이언스 국제협력 본격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8월 9일 대전 생명연 본원에서 개최된다. 우승팀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과 상금
100
만원이 수여된다. 대회는 전국 고등학교 재학생 또는 17~19세 청소년이면 누구나 2인 1팀으로 참가할 수 있다. 참가를 원하는 학생은 토론 동영상과 토론 개요서를 제작해 7월 11일 오후 2시까지 공식 홈페이지 ... ...
北 핵실험 탐지장비 연구부정에 조사위 구성원칙 안지킨 KINS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2013년 7월부터 2018년 4월까지 국비 23억원을 들여 제논 탐지장비 '젬스(Xems)'를 개발하고
100
%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연구성과 보고서를 제출했다. 2023년 진행된 원안위 감사에서 제논 분리나 추출 등 젬스의 핵심 기술이 해외 제품과 거의 동일하다는 사실이 적발됐다. 원안위는 문제가 된 연구결과를 ... ...
"타우린 부족, 노화와 상관없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연구팀은 노화 연구에 참여하는 26~
100
세 인간 참여자들, 3~32살 붉은털원숭이, 9~27개월 생쥐를 대상으로 타우린 혈중 농도를 측정하는 종단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생쥐 수컷은 나이가 들어도 타우린 수치가 일정했고 나머지 그룹에서는 나이가 들수록 ... ...
비흡연자 폐암 증가 미스테리 서서히 풀린다…"대기오염이 돌연변이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08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기가스나 화석 연료 연기에서 발견되는 직경 2.5마이크로미터(µ·
100
만분의 1미터) 미만의 초미세먼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결과였다. 대기 오염이 EGFR 돌연변이를 가진 비흡연자에게 폐암을 유발한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윌리엄 힐 프랜시스 크릭 ... ...
[사이언스영상] 과로잡는 문신 스티커
SEIZE
l
2025.06.07
두께는 0.11mm로 종이 한 장만큼 얇고 무게도 배터리와 블루투스 송신기를 포함해 4.1g으로
100
원 동전의 무게와 유사하다. 덕분에 5시간 이상 오래 착용이 가능하고, 운동 중에도 쓸 수 있다. 이 장비는 고위험 환경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연구팀은 “미래에는 이 기술이 장거리 운전기사와 비행기 ... ...
아기 때 기억은 살아있다…불러오지 못할 뿐
과학동아
l
2025.06.07
날이 올 겁니다. 좀더 기억을 단단히 붙들어 매는 방법은 없을까요. 성인들 중 10분 동안
100
개 숫자를 순서대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존재합니다. 이들은 '연관성'을 활용한 기억법으로 단기간에 많은 기억을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억법으로 '기억의 궁전'이 있습니다. 우리가 익숙한 장소를 ... ...
서울·부산 왕복 800km 거리서 마주보며 '가위바위보'…ETRI, 6G통신 실시간 시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6.05
서브테라헤르츠(Sub-THz) 대역과 10기가헤르츠(GHz) 광대역폭을 활용했다. Sub-THz는
100
~300GHz 사이의 초고주파 영역으로 6G의 초고속·초저지연 특성을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ETRI는 이 대역에 다중 송수신(MIMO)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으로도 지연 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했다. ... ...
수십년 ‘뮤온 실험' 결론 "표준모형과 일치…새 입자나 힘 못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6.04
같지만 질량은 약 207배 무거워 불안정하다. 수명이 약 2.2마이크로초(1마이크로초는
100
만분의 1초)에 불과하다. 뮤온은 자기장 안에서 회전하는 팽이처럼 흔들리는데 이때 진동하는 속도는 뮤온의 자성과 관련된 특성을 나타내는 'g'값으로 표현된다. 이론물리학자들은 전세계 입자물리학 실험에서 ... ...
[스페이스버드]② 인공위성 눈 만드는 텔레픽스 연구실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04
이를 조립해 광학 탑재체를 만든다. 머리카락 두께 10분의 1 정도인 10㎛(마이크로미터,
100
만분의 1미터) 거리만큼 세밀하게 광학 탑재체를 움직이는 장치를 이용해 광학 탑재체의 정밀도를 시험하고 개선한다. 어린이 우주 기자단은 클린룸에서 광학 탑재체의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책상 진동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이재명 정부 출범…AI보다 '기초과학'이 더 절박
2025.06.04
따르면 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기초과학 분야의 과제는 2021년 1만5000개에서 2025년 1만
100
0개로 27%나 줄었다. 같은 기간 기초과학 분야 연구를 수행하겠다는 연구자의 수는 2만7000명에서 5만6000명으로 2배 이상 늘어났다. 기초과학 분야의 대학원 학생과 박사후 연구원의 대(大)탈출이 이어지고 있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