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감도"(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2015.04.27
- 환경을 만들어 실험을 했고 그 결과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다. 즉 빛수용체들은 저마다 감도가 다른데 빛이 미미할 때는 가장 민감한 막대세포의 로돕신이 반응해 일주리듬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빛이 조금 더 강해지면 원뿔세포의 아이오돕신이 주로 반응한다. 빛이 충분히 많아져야 멜라놉신이 ...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2014.06.04
- 최근 관측의 실패 사례로 시작하고 있다. 즉 미국 사우스다코타주의 한 폐광에 가장 감도가 높은 검출기를 설치한 LUX실험 프로젝트가 지난해 첫 관측(3개월간)에 들어갔지만 어떤 신호도 감지하지 못했다고. 그러다보니 이 글 앞에 인용한 비관적인 구절을 쓰기도 했다. 우주에서 오는 ... ...
- 산기협, 2014년도 기술경영인상 수상자 선정KOITA l2014.02.25
- 프로젝트 등 포스코 차세대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연구소장 부문 공동수상자인 ㈜고감도의 안향자 연구소장은 공간디자인 전문가로 기업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인 업무공간을 개발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일조한 공로로 수상자로 선정됐다. 안소장은 펙토테리어(Factoterior) 디자인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동아사이언스 l2013.12.26
- 좀 더 자세히 연구했다. 1988년 미국 브랜다이스대로 자리를 옮긴 헉슬리는 고감도 장비를 써 밀리초 간격으로 근육수축 데이터를 얻는데 성공했다. 2004년 헉슬리는 ‘유럽생화학저널’에 50년 전 내놓은 자신의 가설을 확증한 연구결과를 실었다. 11. 토니 파우슨 (1952.10.18 ~ 2013. 8. 7) 세포 신호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동아사이언스 l2013.12.23
- 구름처럼), 거품상자에서는 액체 안에 기포가 만들어진다. 거품상자는 안개상자에 비해 감도가 훨씬 뛰어났고 이를 이용해 수많은 입자들의 존재가 밝혀졌다. 글레이저는 거품상자를 발견한 공로로 1960년 불과 34살의 나이에 단독으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한편 1959년 버클리대로 자리를 옮긴 ... ...
- 2015년까지 국산 PET, SPECT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3.07.03
- 제공 방사선 3차원 광자추적형 PET(Compton-PET)는 기존의 영상장치보다 180%정도 감도가 증가한다고 이론적으로 입증됐으나 세계적으로 구현된 적이 없는 미개척 분야로, 정지 영상을 구현하는 현재 2차원 방사선 영상기기와 달리 단일 광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3차원 동영상 변환이 ... ...
- 산화 및 환원 그래핀을 이용한 고감도 가스센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6.12
- 더 감도가 높았다. 서로 다른 표면 특성으로 각각 다른 화합물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감도에도 차이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이외에도 연구팀은 타이오펜(thiophene)을 이용해 산화그래핀을 고품질의 환원그래핀으로 만드는 환원법을 개발하여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지 5월 31일자에 게재한 바 ... ...
- [연구실 탐방]RDMIS 연구실 고속, 고감도의 방사선 검출을 선도한다KAIST l2013.05.22
-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촬영)나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에 비해 민감도가 좋아 조기 진단에 유리한데, 섬광체에서 나온 수백 개에 불과한 광자를 얼마나 증폭시키는가가 그 성능을 좌우한다. 이 역할을 하는 핵심소자가 바로 SiPM인 것이다. 두 번째 연구과제는 개인선량계의 ...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전자가 슬릿을 통과해 스크린에 도달하는 분포를 전자 입자 하나도 검출할 수 있는 고감도 검출기로 측정한 것. 위쪽 사진 중 왼쪽은 슬릿이 이동함에 따라 스크린에 검출된 전자 분포 패턴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각 사진 왼쪽 위의 주황색이 가리개다. 맨 위에서부터 보면 가리개의 ... ...
- “생명공학 신속함 갖춰야… IT와 합하면 가능” 동아사이언스 l2010.01.11
- “BT융합연구부에서는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암 및 심근경색을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 있다”면서 “바이오 기업인 인포피아, 에스디와 공동연구로 진행했으며, 두 기업에서는 ETRI에서 개발한 기술을 이전받아 사업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원장은 올 해에도 IT ... ...
이전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