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권한
권력
권세
위세
직권
힘
역량
스페셜
"
권리
"(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자의 눈]미래 과학자 10명중 7명이 최저시급도 못받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통해 대학원생들이 같은 시대를 사는 노동자들과 동등한
권리
를 인정받도록 해야 한다. 청년들에게 무조건적인 열정페이를 강요해선 안되듯이 미래 과학도들에게도 같은 룰을 적용해야 한다.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⑨시장은 실패해도 시장의 방식은 실패하지 않는다 "평가하지 말고 공개하라"
2020.11.24
FERPA)’라는 법령이 있다. 부모와 학생들의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광범위한
권리
를 보장해 주는 법령이지만, 그 핵심 내용은 오히려 교육기관이 학생들의 정보를 당사자 동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명확하게 정의해 주는 데 있다. 교육 개선 목적, 교육기관의 감사 또는 평가 목적, 재정 지원과 ... ...
서울대·이대 연구자들 논문 무더기 철회되고도 해명도 안해…국제적 망신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IRB)의 규정을 다수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IRB는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대상자의
권리
와 안전을 지키기 위해 생명연구의 윤리적, 과학적 측면을 심사하고 연구계획을 승인하도록 하는 기구다. 임상연구를 수행하는 대부분 병원에 설치된다. 연구팀은 생명윤리연구승인 절차를 위반한 것 외에도 ... ...
NYT "미 백악관 '봉쇄 해제' 그레이트 배링턴 선언 채택"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미국 백악관. 위키피디아 제공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봉쇄 정책을 풀고 고위험군만 집중 보호하자는 내용의 선언문인 ‘그레이트 배팅턴 ... 결함이 있다"며 "취약계층은 어느 집단이나 존재하며 이들 모두 '평등한 대우'를 받을
권리
가 있다"고 말했다. ... ...
"봉쇄 풀고 고위험군만 보호하자" '그레이트 배링턴 선언' 뭐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결함이 있다"며 "취약계층은 어느 집단이나 존재하며 이들 모두 '평등한 대우'를 받을
권리
가 있다"고 말했다. 집단면역, 인구 집단의 면역상태에 대한 정의...국내 항체 양성률은 평균 0.04% 질병관리본부가 2017년 제시한 집단감염의 개념을 설명한 인포그래픽.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캡쳐 ... ...
"제자들 시험보게 해달라" 허리굽힌 대학병원장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볼모로 특히 의사들에게는 의사들만 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는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권리
가 부여돼 있고 그것을 이행하기 위해 수반되는 의무가 있다"면서 "그것을 이행하지 않고 단체행동을 해 국민의 걱정과 우려가 쌓여있는 상황이다. 이 부분이 명확히 해소되지 않아 아쉽다"고 덧붙였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생물학의 새로운 도덕경제
2020.09.23
안락의자에 앉은 수집가처럼, 자신은 수집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수집된 표본에 대한
권리
만 주장하는 게으른 수집가에 불과했다. 유전자은행에 저장된 염기서열의 소유권은 누구의 것인가. 바로 이 부분에서 고드와 데이호프는 서로 생각이 달랐다. 데이호프는 자연사 전통의 컬렉션처럼, ... ...
[논문감시]국내 정형외과 교수들 '심각한 연구윤리 위반' 논문 7편 무더기 철회
2020.09.07
IRB)의 규정을 다수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IRB는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대상자의
권리
와 안전을 지키기 위해 생명연구의 윤리적, 과학적 측면을 심사하고 연구계획을 승인하도록 하는 기구다. 임상연구를 수행하는 대부분 병원에 설치된다. 연구팀이 위반한 것으로 지적된 사항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무줄이 돼버린 방역 대책
2020.09.02
개인정보보호법을 무시한 명백한 불법 행위였다. 사회 질서를 핑계로 정부가 개인의
권리
를 침해하는 일은 이제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권위주의 시대의 낡은 악습이다. 바늘구멍으로 황소바람이 들어오는 법이다. 과학적 방역을 무시한 어설픈 정치적 고려는 독약이다. 중국에 대한 입국 차단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따르고 있었다. 실제로 수많은 박물관의 표본들과 개인 수집가의 컬렉션은 여전히
권리
가 독점적으로 부여된다. 하지만 자연사 전통에서는 너무도 자연스러운 지식재산권이, 실험생물학 전통에서는 부자연스럽게 인식되었다. 실험생물학자 대부분은 데이호프가 고집하는 독점적이고 폐쇄적인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