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스페셜
"
규모
"(으)로 총 2,93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
2023.12.23
미국 오픈AI 수석 연구원도 선정됐다. 수츠케버 연구원은 챗GPT와 이를 뒷받침하는 대
규모
언어모델(LLM)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환경문제에 기여한 인물 2명도 네이처 10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 열대우림 벌채 감소를 위한 정책을 시행한 마리나 실바 브라질 환경부 장관과 세계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나노기술연구협회가 선정 및 발표한다. 노 교수의 기술은 나노미터
규모
로 미세하게 패터닝된 메타표면과 빛을 이용해 거리를 인식하는 차세대 컴퓨터 비전 기술이다. 안 교수의 기술은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사용해 2차원 소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매우 얇고 균일한 원자층막 증착을 가능하게 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MLL은 지금까지 부피가 큰 형태로만 개발되어 매우 작은 공간에서 적은 빛을 다루는 칩
규모
나노광학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리튬 니오베이트 기반 '소형 모드 잠금 레이저'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MLL은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단위에서 작동하며, 기존 나노광학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성과를 내고 있다. 심지어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대의 무기 강국인 미국에 최대 500대
규모
의 해‧공군 고등훈련기를 수출하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종호 장관, 정부 연구·개발 제도 혁신방안 발표. 연합뉴스 제공 ● 국가연구개발 정책의 혁신 국가연구개발 정책의 현실은 화려한 혁혁한 ... ...
[사이언스게시판] IBS, '국제 가속기 및 빔 이용 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ETRI 컨퍼런스 2023'를 통해 채용설명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ETRI는 현재 역대 최대
규모
로 하반기 정규직 채용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에는 체험형 인턴(연구연수생)도 함께 모집한다. 대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72개 분야 114여 명을 채용한다. 연구원 채용에 대한 상세정보는 ETRI 홈페이지 및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태계 복원 위해 초식동물 개체수 조절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복원되는 양상을 살폈다. 육상과 수상 지대를 나눠 이 지역에 서식하는 초식동물의
규모
가 식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각각 분석했다. 분석을 마친 연구팀은 초식동물이 식물 생태계 파괴와 복원에 미치는 영향이 그간 과소평가됐다고 밝혔다. 특히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적어 식물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개구리·도룡뇽 살 곳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4
통해 멸종 위기에 처했던 일부 종에서 회생의 기미가 보이곤 있긴 하지만, 좀 더 큰
규모
의 투자가 빠르게 이뤄져야 현재의 멸종 흐름을 뒤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20년간 산불이 대기오염에 미친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3.09.23
불길이 캐나다 전역을 덮치면서 17만여 명이 대피했다. 최근 북미지역에서 발생한 대
규모
산불은 인근 지역의 대기오염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번주 표지로 산불을 진화하는 소방관의 모습을 담았다. 기후변화가 일으킨 초대형 산불이 계속해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과학기술에서 국제협력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어쩔 수 없이 연구개발의 역사가 짧고
규모
도 작을 수밖에 없는 우리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그렇다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퍼주기식’ 국제협력이 언제나 바람직한 것은 절대 아니다. 외국의 대학‧연구기관을 주관기관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300km 길이로 남은 튀르키예 지진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9.03
연구팀은 복잡한 파열 이력과 단층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지진
규모
와 공간 및 지질학 관측을 단층의 기구학적 전위 및 동적 파열 모델링과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동아나톨리아 단층을 포함한 최소 6개의 단층이 파열됐다는 점을 확인했고, 예상치 못한 파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