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스페셜
"
기둥
"(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발견되는 곳은 나뭇가지로 52%에 이르렀고 대부분(89%) 아래쪽에 있었다. 그러나 35%는 나무
기둥
에서 발견됐고 대부분(35%)은 북쪽에 있었다. 즉 직사광선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나머지 13%는 잔가지에 붙어 있었다. 즉 케틀웰의 실험이 장소면에서도 큰 문제는 없다는 말이다. 여담이지만 ... ...
[동영상] 토종 로켓엔진 내뿜는 불
기둥
‘무시무시하네!
2016.05.29
동안 연소하는 시험 장면을 27일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 동영상으로 공개했다. 거대한 불
기둥
과 함께 안전을 위해 뿌린 물 때문에 수증기가 구름처럼 퍼져나가는 모습이 여과없이 담겼다. 이번 실험은 전남 고흥 나로 우주센터 중앙에 이치한 아파트 10층 높이(32m)의 거대한 연소기 연소시험 ... ...
[동영상] 태양이 다시 나오는 순간 빛나는 다이아몬드링을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6.03.09
보시죠~! 인도네시아 발루 섬에서 촬영한 개기일식. 왼쪽 사진의 일식 왼쪽에서 불꽃
기둥
인 홍염을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제공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평형상태가 유지되므로 육각형 박판이 커지기만 한다. 반면 영하3도에서 영하10도의 육각
기둥
또는 육각바늘 형태의 눈결정 생성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얼굴이 똑같은 사람이 없듯이 눈결정도 다 다른 이유는 구름에서 눈결정이 만들어질 때(보통 수십 분이 걸린다) 대류에 따라 결정이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규명해 198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허블은 노벨상수상강연에서 “체감각피질의
기둥
구조 발견은 라몬 이 카할 이후 대뇌피질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며 마운트캐슬의 공로를 인정했다. 마운트캐슬은 학과장을 비롯해 여러 학회지의 편집장 등 행정업무도 많았지만 아침 일찍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아리랑 3A호 발사 동영상
2015.03.26
항우연)은 현지 시간 새벽 3시 8분 46초(한국 시간 7시 8분 46초)에 밝은 불
기둥
을 내 뿜으며 하늘로 솟아 오르는 드네프르 발사체의 영상을 공개했다. 이날 발사는 별도의 카운트 다운 없이 새벽 3시 8분 46초에 맞춰 발사 15분 전부터 자동 발사시퀀스에 돌입하면서 시작됐다. 드네프르 발사체는 옛 ... ...
[기술이 바꾼 미래]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인터뷰 “사소한 불편을 참지 마라"
KOITA
l
2015.01.20
나갔다. “일단 각 주파수 음을 모두 제거하기 위해 헬름홀츠 캐비티 한 무더기를 선풍기
기둥
에 넣었어요. 높이가 5피트(152.4cm)에 달했죠. 그리고 한 번에 하나씩 장치를 제거하며 소리 변화를 녹음하면서 음색을 개선했습니다.”그는 “이러한 ‘반복’이야말로 다이슨의 디자인 과정에서 가장 ... ...
국내 최초의 노벨화학상 후보에 오르다
IBS
l
2014.12.16
나노판 제올라이트를 합성해 '네이처'에 발표한 뒤, 2011년에는 큰 구멍이 있는 육각
기둥
벽에 작은 구멍들이 뚫려 있는 제올라이트를 합성해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이 성과는 2011년에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10대 과학성과'에 선정되기도 했다. 유 단장은 세계적인 명성에 힘입어 국내외에서 ... ...
[MATH] 반(半) - 자장면과 종이접기
KISTI
l
2014.07.21
따라서 그 굵기가 지름이 3.7m인
기둥
과 같게 되므로 당시 이성계가 가리킨 절의
기둥
은 명주실을 계속해서 반으로 25번 내지는 26번 정도 접은 굵기이다. 반으로 접는 것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를 하고 있었던 이성계는 실로 왕이 될 만한 인물이었음에 틀림없다. ■ 종이접기는 뇌를 자극하는 놀이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일이라 필자도 깜짝 놀랐지만 약간 미안하긴 했다. 아무튼 그 조그만 새가 어떻게 나무
기둥
안에 그런 공간을 만들었는지 신기했다. 그 뒤로도 지나가다 몇 번 구멍을 봤지만 새는 보이지 않았다. 강석기 제공 그런데 며칠 전 무심코 쳐다보니 구멍에서 새가 머리를 쏙 내밀고 있다(박새 같은데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