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거
반항
저항
경쟁
적대
불찬성
반대
스페셜
"
대항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연, 코로나19 진단기기 개발 위한 항원단백질 4종 공급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여부를 확인하는 기기다. 사람의 몸속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면역체계가 이에
대항
할 항체를 만들게 된다. 몸속의 항체를 검출해내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항체는 S1과 RBD 등 특정 단백질에 달라붙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코로나19 항체를 확인하는 기기를 만들 수 있다. ... ...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박차…"예방과 치료에 효과적"
연합뉴스
l
2020.08.04
키워지는 단일클론 항체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인체에 투입했을 때 이에
대항
하기 위해 생성되는 항체의 복사본이다. 항체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에서 가장 강력한 바이러스 중화 능력을 보이는 항체를 선별하고, 그 항체 유전자를 삽입한 세포를 배양해 항체를 대량생산한 것이다. ... ...
영장류 실험서 코로나19 항체 형성·감염 방어 효과 잇따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각각 직접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세포성 면역 반응’과 항체를 생산해 바이러스에
대항
하는 ‘체액성 면역 반응’을 담당한다. 바이러스 감염 뒤에는 백신을 맞은 원숭이의 기관지와 하기도 조직 바이러스 검출량이 크게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만 코에서 배출되는 바이러스량은 큰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 감염에 멀쩡한 박쥐, 유전자 지도로 비밀 밝혀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5
박쥐는 바이러스가 들어와도 염증을 일으키지 않는 독특한 면역체계와 바이러스에
대항
하는 항체를 보유하고 있어 150종 이상의 바이러스를 지닌 상태로도 생존할 수 있다. 박쥐의 유전 정보를 모두 풀기 위해 전 세계 연구팀이 모여 만든 ‘Bat1K’ 프로젝트는 대표적 박쥐 6종의 유전자를 분석한 ... ...
[백신 업데이트]美화이자·獨바이오엔테크 백신 임상2상 면역유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첫 임상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번 독일 시험에서는 백신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항
하는 고도의 T세포 반응을 만들어냈다. T세포란 일종의 백혈구로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침입자를 겨냥한 면역체계 공격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백신의 효험을 증명하기 위해 ... ...
"비만할수록 코로나19에 더 취약…비만도 중증 악화 위험인자"
연합뉴스
l
2020.07.16
㎡ 이상의 비만에 해당했다. 정창희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비만일 경우에는 코로나19에
대항
할 수 있는 면역력이 약화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지방세포는 체내 염증을 유발하는 인터류킨-6을 분비하므로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이고 중환자실에 입원할 정도로 악화하는 원인을 제공한다"고 ... ...
[IBS 코로나19 리포트] 'K진단'과 과학자들의 연대
2020.06.24
정확한 프라이머를 활용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코로나19라는 공공의 적에
대항
하는 전 세계 과학자들의 연대 코로나19 사태는 과학자들의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논문이 게재된 후 미국 버지니아대와 에모리대와 로스앤젤레스캘리포니아대(UCLA) 연구진은 실험용 면봉이 부족해 실험을 ... ...
혈장공여자 8일만에 12명→75명 껑충…혈장치료제 개발 위한 100명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2%의 기타 성분으로 이뤄진다. 감염 뒤 약 일주일 뒤부터 환자의 몸에는 병원체에
대항
하기 위해 바이러스 단백질 일부를 인지하는 면역 단백질인 이뮤노글로불린M(IgM)과 이뮤노글로불린G(IgG) 항체가 형성된다. 이들을 중증 환자에게 투여해 치료 효과를 노리는 방식이다. 혈장치료제는 오랜 기간 ... ...
인간의 토지 사용 변화가 코로나 확산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5
박쥐는 바이러스가 들어와도 염증을 일으키지 않는 독특한 면역 체계와 바이러스에
대항
하는 항체를 보유하고 있다. 몸에 약 200종이 넘는 바이러스를 지닌 상태로 사는데도 죽지 않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박쥐가 무리지어 살고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어 바이러스를 쉽게 확산할 수 있는 ... ...
혈장 치료로 환자 76% 개선됐다는데…국내선 혈장 구하기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2%의 기타 성분으로 이뤄진다. 감염 뒤 약 일주일 뒤부터 환자의 몸에는 병원체에
대항
하기 위해 바이러스 단백질 일부를 인지하는 면역 단백질인 이뮤노글로불린M(IgM)과 이뮤노글로불린G(IgG) 항체가 형성된다. 이들을 중증 환자에게 투여해 치료 효과를 노리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올해 3월 2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