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스페셜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67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천왕성을 집중적으로 탐사하자는 것이다. 1977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발사한 우주 탐사선 ‘보이저 2호’. 9년 뒤 천왕성을 지나며 하늘색의 천왕성을 사진으로 담았는데, 이제껏 천왕성에 가까이 간 탐사선은 보이저 2호가 유일하다. 미
항공
우주연구원 제공 ○ 천왕성 방문, 보이저 2호가 ... ...
별 데이터와 인공지능 합친 점성술은 과학일까
2022.06.18
점술과 과학이 만났다? 외국의 한 스타트업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실시간 별데이터를 기반으로 점성술을 보는 앱을 서비스한다. 생년월일, 장소 등을 입력하면 출력 값이 매일 바뀌고, 인공지능(AI)이 역술인을 추천해주기도 한다. 점술과 테크를 합쳤다는 의미에서 ‘점테크’라 불린다. 점테크 ... ...
[우주산업 리포트]요즘 국제 우주협력의 다섯 가지 트렌드
2022.06.17
‘울프 수정안’(Wolf Amendment)로 이 법안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을 비롯해
미국
정부의 자금으로 운영되는 우주 관련 단체가 중국 정부 및 관련 기관과 직접적 협력을 금지하고 있다.
미국
의 우주기술이 중국으로 넘어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입법이다. 또
미국
은 중국으로 넘어간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대학 큐브위성 개발을 비교해달라는 질문에 “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나 해외 기관에서는 연구원들이 큐브위성을 개발하는 대학에 가서 학생을 지도하는 사례가 많다”며 “또 한국은 학생들이 주가 돼 위성시스템까지 개발하는데 해외에서는 시스템은 다른 데서 만들고 대신 탑재체 개발에 ... ...
미 퍼시비어런스, 화성 생명체 흔적 찾아 길 나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본래 주어진 임무 수행에 나선 것이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지난달 28일 퍼시비어런스가 착륙지인 예저로 분화구의 '호크빌 갭' 지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이 지역은 39억년 전 강이 흐르며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삼각주 지형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퇴적물은 생명체에 필요한 탄산염 등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운용에 들어가기도 전에 유성체와 충돌… 주거울 조정해 성능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분석됐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을 개발한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망원경의 거울을 일부 조정했으며 성능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9일 NASA 블로그와 더버지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3일부터 25일 사이 미소 유성체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주경을 구성하는 18개 거울 중 하나인 C3에 충돌했다. ... ...
日 "하야부사2가 소행성에서 가져온 흙에서 아미노산 20종 이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7
아미노산을 발견된 것은 처음은 아니다. 앞서
미국
항공우주국
(NASA)는 지난 2009는 탐사선 스타더스트가 혜성 빌드2에서 채집한 시료에서도 글라이신을 발견했다. 당시 칼 피처 NASA 우주생물학연구소장은 “이 발견은 생명체의 기본 구성요소가 우주에 널리 퍼져 있으며 우주 생명체가 생각보다 ... ...
기존 천문관측 사진과 클라우드 컴퓨팅만으로 킬러소행성 100개 추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탐색 망원경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 따르면 지금까지 지름이 140m 이상인 지구 주변 소행성 2만5000개 중 40%만 발견됐다. 나머지 60%에 해당하는 1만5000개는 지구와 충돌할 때 수억 톤의 TNT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지만 아직 탐지되지 않은 채로 ... ...
한국 첫 우주탐사선 '다누리' 기획부터 발사까지 15년 "이제 준비는 끝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착륙 가능성을 평가한다. 또다른 탑재체인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섀도캠’은 달 극지역의 충돌구 등 음영지역을 촬영한다. 인류가 보낸 달 궤도선 중 처음으로 광시야편광카메라 ‘폴캠’도 주요 탑재체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바한 폴캠은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편광을 활용해 달 ... ...
[프리미엄 리포트] 우크라이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22.06.04
미우주
항공우주국
제공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 불식하는 기회가 된 덕이다. 이창진 건국대 기계
항공
공학부 교수는 “과거 위성 통신 서비스 이리듐 ... 때문이라고 말한다. 4월 15일 워싱턴포스트는 “
미국
국방부 고위당국자에 따르면 미사일2기가 명중하면서 모스크바함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