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리띠
혁대
밸트
띠
밴드
허릿띠
허리끈
스페셜
"
벨트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반대로 사고가 날 걱정, 불이 날 걱정을 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안전
벨트
를 잘 매고 안전 규정을 잘 지키는 모습을 보인다. 또 건강을 잃을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더 건강검진을 잘 챙겨 받고 건강한 생활습관도 잘 유지하는 모습을 보인다. 남들은 다 당뇨, 고혈압 등 다양한 병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합성생물학'이라는 논문을 쓴 네덜란드 위르겐대 신학및종교연구과 헨크 반 덴
벨트
교수는 “인조 인간이 현실화된다는 것을 상상하면 두렵지만 도전해 볼 문제”라며 “이 분야의 연구가 윤리 종교적 논쟁점이 있기때문에 토의를 통해 절충하면 부작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오늘날 치료라는 과정이 어떤 것인지 실감할 것이다. 물론 이처럼 환자들이 컨베이어
벨트
위의 물건처럼 취급되는 현실이 불가피하다는 입장도 있다. 제한된 의료진이 그 많은 환자들을 ‘처리’하려면 효율적인 시스템을 도입할 수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환자가 느끼는 불안과 소외감은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미세플라스틱이 될 운명이다. 플라스틱의 분포를 보면 한반도 주변 바다도 ‘핫
벨트
(hot belt)’에 속한다. 필자는 수년 전 반쯤 썩은 바닷새 사체를 보고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실감했다. 즉 내장이 썩어 없어지자 그동안 새가 삼킨 플라스틱 조각들이 드러났는데 그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
IBS
l
2016.10.04
수 있는 '생성장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IBS 중이온가속기사업단이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의 핵심 시설로 개발하고 있는 중이온가속기 라온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멀티 플레이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온은 초전도 선형가속관을 이용해 중이온을 광속의 50%에 가깝게 가속시키는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8월 29일자 온라인판에는 지구온난화로 얼음이 녹이면서 최근 드러난 이수아 그린스톤
벨트
의 암석에서 스트로마톨라이트로 보이는 구조를 발견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즉 암석의 특정 부분을 보면 수cm 크기의 원뿔 모양의 구조물이 잘 드러난다. 호주 울런공 대학 연구자들은 이런 형태가 전형적인 ... ...
중국, 해양강국 건설 전략 발표
2015.11.12
구상을 담고 있다. ‘일대’(一帶)는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실크로드 경제
벨트
’를, ‘일로’(一路)는 동남아시아-서남아시아-유럽-아프리카로 이어지는 ‘21세기 해양 실크로드’를 말한다. 요컨대 고중세의 실크로드 경제권을 부활시키는 한편으로는 아프리카로 뻗어나가겠다는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존재하는 혜성들도 있다. 이들의 고향은 물론 태양계의 외곽인 오르트 구름이나 카이퍼
벨트
일 것으로 보고 있다. 혜성 67P의 경우 근일점에서 지구 궤도에 매우 가까워진다. 그럼 이때 탐사선을 보내면 비교적 쉽게 혜성을 찾아갈 수 있지만, 태양열로 인해 혜성의 핵에서 분출된 가스와 먼지로 ... ...
비행기 사고 서바이벌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4.07.11
떨어지면 위험할 정도로 무거운 짐을 올려놓지 말자. 그리고 비행 중에도 항상 안전
벨트
를 차는 게 좋다. 또한, 술은 많이 마시지 말자. 사고가 났을 때 재빨리 대피하려면 맑은 정신으로 있어야 한다. 게다가 기압이 낮은 공중에서는 평소보다 알코올의 영향을 더 받는다. 비행기 밖으로 빠져나온 ... ...
"세계 최고의 중이온 가속기 구축과 기술자립"
IBS
l
2014.07.09
모집하는 것을 보고 합류를 결심했다. 연구의 재미와 자유를 찾아 날아든 셈이다. 과학
벨트
중이온가속기에 사용될 4종의 초전도 가속관 중 HWR(Half Wave Resonators) 가속관을 개발하고 있는 박건태 박사는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에서 학위를 마치고 곧바로 합류한 사례다. 아르곤 국립연구소는 유명한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