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경
변형
전환
개종
변질
변용
스페셜
"
변환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토막 과학상식]방사선으로 해킹 불가능한 양자난수 만드는 1.5mm 초소형칩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구조. 방사성동위원소가 베타 방사선을 내면 반도체 소자에서 이를 검출해 양자난수로
변환
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이번에 개발된 난수발생기는 니켈-63에서 나오는 베타선 신호의 간격을 이용해 진성난수를 만든다. 베타선은 매우 불규칙한 시점과 위치에서 끊임없이 방출된다. 통계학적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대학에서 실패한 과학자, 세상을 구하다
2021.09.09
mRNA는 ’번역’이라는 과정을 통해 DNA의 염기서열 정보를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로
변환
시켜주는 일을 수행한다. 이 역할이 마치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전령과 같기 때문에 mRNA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는 mRNA 백신의 핵심 기술을 개발한 ... ...
[과학게시판] 과학기술정책 학술지 원고모집 안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자금 등 기술사업화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9일 이진석
변환
저장소재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이 수명을 다한 태양광 폐패널을 재활용해 20.05%의 고효율 태양전지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태양광 폐패널 1t을 재활용하면 이산화탄소 1200㎏을 감축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방사능의 발견
2021.08.19
심도 있게 연구했다. 그 결과 방사성 원소는 방사선을 방출하면서 원래와는 다른 원소로
변환
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는 당시로는 대단히 놀랍고도 과감한 주장이었다. 왜냐하면 주기율표의 원소는 결코 변하지 않는 불변의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원소가 이렇게 바뀌는 것은 중세의 ... ...
한미 연구팀 세계 최고 효율 열전소재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최고 성능을 보인 소재의 ZT가 2.6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에너지
변환
효율도 20%를 넘겨 기존 소재들이 기록한 5~12%보다 높았다. 정 교수는 “지도교수였던 카나치디스 교수에게도 샘플을 보내고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회사에도 소재를 보내 교차검증을 통해 정확한 수치를 얻었다”고 ... ...
백금촉매·이차전지·음극소재 자립화 올해도 씨앗 더 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연결되지 못한 연구로 연구단은 기술 상용화를 위해 새로운 촉매에 적용할 전기에너지
변환
필름인 막전극접합체(MEA) 대면적 기술 개발도 진행한다. 8개 신규 국가핵심소재연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미래기술연구실은 향후 5~10년 기술 실현이 예상되는 첨단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마련된 ... ...
[올림픽의 과학]약물은 옛말…걸리지 않는 도핑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유전자 도핑의 가능성도 제기된다. 가령 지구력과 순발력에 관여하는 '앤지오텐신
변환
효소(ACE)’ 유전자를 선수 유전자에 집어넣어 경기력을 끌어올리는 방식이다. ACE 유전자 가운데 지구력을 관할하는 II나 ID형 유전자형을 장거리 육상선수에, 순발력에 관여하는 DD형 유전자는 단거리 ... ...
[과학게시판] 전기연, 185억 투입 HVDC 시험 인프라 창원에 구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창원에 구축한다고 27일 밝혔다.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대용량 전력을 고압 직류로
변환
해 원거리까지 전송하는 기술이다. 전기연과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남도, 창원시가 185억 원을 투입해 창원 전기연 본원에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시험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 한국핵융합연구원과 ... ...
[과기원은 지금] 박현규 KAIST 교수팀, RNA 바이러스 검출 신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온도 조절 장치가 필요하고 진단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온도
변환
과정 없이 동일한 온도에서 표적 바이러스의 RNA를 초고감도로 20분 이내에 검출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지난달 16일자에 공개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15일 장지현 ... ...
RNA 바이러스 표적 초고감도로 검출…"코로나19 조기진단 기여"
연합뉴스
l
2021.07.15
표적 RNA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별도의 온도
변환
과정 없이 동일 온도(41도)에서 바이러스의 RNA를 검출 한계 1aM(아토몰·10의 18제곱분의 1몰)의 초고감도로 측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적용해 감기·중증 모세기관지폐렴 등을 유발하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