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복
복원
만회
재건
복귀
부흥
수복
스페셜
"
복구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접근 쉬운 고해상도 지리정보 데이터, 기업 의사결정 바꿀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플래닛의 위성사진이 활용됐다. 스카이샛이 수개월 전 촬영한 사진을 활용해 폭발사고
복구
에 활용한 것이다. 플래닛은 지난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수초 후 발사 궤적을 확인할 수 있는 위성영상을 촬영하기도 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유튜브 캡처 메이슨 부사장은 “위성 영상 정보는 정부 ... ...
[표지로 읽는 과학] '학술 식민주의'에서 독립한 아프리카 게놈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1
게놈 분석된 민족 그룹에서 주로 나왔다. 분석에서는 바이러스 면역이 늘어나거나 DNA
복구
및 대사 능력에 관여하는 자연 선택으로 진화한 유전자 62개가 발견됐다. 이번 연구는 아프리카 연구자가 주체가 되어 아프리카 게놈을 분석한 거의 최초의 연구다. 지금까지 아프리카인을 분석한 연구는 ... ...
'생체시계' 텔로미어, 암 치료제로 제2의 전성기 맞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가져왔다. 텔로머레이스는 염색체 말단에 있는 특정 염기서열 구조인 텔로미어를
복구
하는 효소다. 인간의 체세포는 분열을 거듭하면서 마디가 잘려나가고, 더는 분열할 수 없는 ‘헤이플릭 분열한계’에 도달해 텔로미어가 있는 끝부분까지 모두 잘려나가면 죽는다. 그런데 텔로머레이스는 ... ...
항공종사자 방사선 안전 나몰라라…1년간 엉터리 정보 제공하고도 까맣게 모른 부처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시스템의 CARI-6 관련 저장장치 오류도 원인”이라며 “올해 9월 이를 인지해 그 달 21일
복구
완료했으며 누락 자료는 신속히 업데이트 하겠다”고 덧붙였다. 항공 승무원의 우주 방사선에 대한 피폭 안전 조치 및 관리를 총괄하는 부처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SAFE가 1년 넘도록 제대로 운영이 되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녹아내린 남극 빙상 다시 돌아오지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6
해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문제는 온도가 다시 낮아져도 이전과 동일한 면적의 빙상으로
복구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서남극의 경우 산업화 이전보다 최소 1도 이상 낮아지지 않을 경우 다시 빙상이 만들어질 일은 없다”고 말했다. 윙켈만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파리기후협정에서 ... ...
해군 함정 전투 중 피해 상황 대처하는 SW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의 초기화면이다.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한국 해군 함정이 전투 중 입는 손상을 빠르게
복구
해 생존력을 늘려주는 소프트웨어(SW)가 국산화됐다. 정정훈 한국기계연구원은 시스템다이나믹스연구실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한국 해군과 협력해 해군 함정에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함정 ... ...
똑똑한 아이로 키우려면 30개월까지는 푹 재우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약 30개월을 전후로 잠을 잘 때 렘수면 단계에서 뇌의 작용이 급격히 바뀌는 것으로 드러났다. Pixabay 제공 만 2세와 만 3세의 뇌에서 잠을 잘 때 ... 안 된다”며 “30개월을 넘기면서 뇌 발달이 중단되고 렘수면의 역할이 뇌의 유지와
복구
로 바뀌면서 수면의 양도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세포벽의 셀룰로스를 분해하면 식물이 이를 감지해 위기 신호를 보내고 그 결과 세포벽
복구
시스템이 작동하며 대목과 접수가 단단히 붙는다는 시나리오다. 추가 연구를 통해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지기를 바란다. 친화성 큰 식물이 어댑터 역할 해 가짓과 식물인 담배는 접붙이기 ... ...
'전국 재확산 정점 지났나, 안 지났나' 당국·의료계 엇갈려 '누구 말 맞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방역당국은 전국 확산의 폭풍전야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 게다가 호우에 대한 피해
복구
, 의료계의 집단행동 등 여러 어려운 상황들이 동시에 닥치고 있는 지금 이 순간이야말로 바로 결정적인 순간"이라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열흘 넘게 계속 세 자릿수의 코로나19 발생이 이어지고 있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미토콘드리아에는 DNA이중나선 가닥이 잘리면 이를
복구
하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다. 원형인 게놈이 잘린 채 방치되면 결국 미토콘드리아가 죽는다. 게놈편집이 게놈에 치명적인 돌연변이가 있는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는 ‘삭제’ 용도로만 쓰일 수 있다는 말이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