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스페셜
"
빛
"(으)로 총 90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지구가 대기오염 물질을 스스로 정화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것으로 확인됐다. 니즈코로도프 교수는 "
빛
없이도 OH는 충분히 생성됐으며 오히려
빛
이 있을 때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생성됐다"며 "이번 발견은 인간이 배출하는 오염 물질이나 온실 가스 등이 대기 중에서 어떻게 정화되는지 원리를 밝힌 연구"라고 밝혔다. 이어 "연구 결과는 대기 오염 발생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꽤 낮지만, 감자처럼 상황에 따라서는 많이 만들어져 독성을 띨 수도 있다. 감자를
빛
에 노출된 채 보관하면 껍질에서 솔라닌 합성이 활발해지고 엽록체가 많아져 녹색을 띤다. 싹이 날 조건이 될 때까지 땅속에서 안전하게 있어야 할 덩이줄기가 외부에 노출됐다는 뜻이므로 화학무기를 생산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김인중 초대 전시 '
빛
의 전언'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서울 동대문구 소재 KAIST 경영대 미술전시관에서 ‘
빛
의 화가’ 김인중 초대 전시 ‘
빛
의 전언’을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김인중 교수가 신부이자 예술가로 활동해온 60여 년의 작품세계를 선보인다. KAIST 초빙석학교수로 재직하며 제작한 작품을 포함해 회화, 발광다이오드(LED)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질병에서 GPCR은 약물의 주요 표적이라는 점에서 구조를 밝히는 연구가 치열했다. 2000년
빛
을 감지하는 GPCR인 로돕신의 구조가 처음 밝혀졌고 2007년 스트레스 호르몬인 아드레날린의 신호를 전달하는 베타-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구조가 규명됐다. 그 뒤 80가지가 넘는 GPCR의 구조가 밝혀졌다. 그런데 ... ...
[오늘과학] 암 세포에 형광물질 붙여 수술 중 정확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수 있도록 영상화 과정에서 단파 적외선(SWIR) 기술을 사용했다. 이를 통해 형광염료의
빛
이 발하는 신호가 고품질의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했다. 1000나노미터(nm) 이상의 파장을 가진 단파 적외선은 700~800나노미터인 근적외선(NIR)보다 아주 미세한 물질을 포착하고 영상화하는 데 유리하다. 실제 쥐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18
해 새로운 특성을 만드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또 카이랄 분자가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
인 '편광'을 만났을 때 반응이 다르다는 성질을 이용해 반도체 등 소재 개발에 활용하기도 한다. 니콜라스 코토브 미국 미시간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카이랄성 연속체를 갖는 광활성 보타이 나노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암세포 특이적 약물 전달을 위한 단백질 조립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메타물질을 이용해 미분과 적분 같은 기본 연산을
빛
의 속도로 처리하고 인공 신경망 컴퓨팅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메타물질은 이차원적인 구조 때문에 이미지를 이용한 연산에 강점을 보인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포토닉스’에 지난해 12월 ... ...
[오늘과학] 건물에 칠하면 내부 온도 낮아지는 페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안료 기반 페인트와 달리 친환경적”이라고 말했다. 나노 구조의 기하학적 배열로
빛
을 반사하고 산란시키며 페인트의 색을 낸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나비가 날개의 색상을 내는 방법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며 “자연계가 표현하는 색상과 색조의 범위는 놀랄 정도로 넓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나와 심박수가 올라가면 불안감이 커져 앞서 실험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그런데 파란
빛
레이저를 쏘아 뇌섬엽의 활동을 억제하자 불안 행동이 크게 줄어들었다. 예상대로 심박수라는 몸의 생리 정보가 뇌섬엽으로 전달돼 불안이라는 감정을 일으키는 걸 입증한 결과다. 흔히 감정은 이성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갑각류 눈에 달린 나노 사이즈 반사경
동아사이언스
l
2023.02.19
연구팀은 “특정 각도에서
빛
이 망막으로 내려가도록 하고, 또 다른 각도에서는
빛
을 다시 반사한다”며 “포식자로부터 눈의 색깔을 가리는 동시에 갑각류들이 바깥도 볼 수 있게 하는 원리”라고 설명했다. 특히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환경이 바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