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스페셜
"
신경
"(으)로 총 1,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한국뇌연구원
신경
혈관단위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
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개발인의 날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25
외상성 스트레스가 뇌에 미치는 영향, 자폐 유전자의 뇌.행동과의 연결성 등 다양한 뇌
신경
과학 분야 최신 연구 동향이 소개된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김시환 전 부소장(현 유저스 기술연구소장)이 저서 '원자력 기술 자립 여정'을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김 전 부소장은 우리 원자력산업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도 전쟁을 위해 개발된 유기염소계 살충제다. DDT가 곤충의
신경
전달 세포를 마비시켜 죽음에 이르게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은 스위스의 화학자 폴 뮐러였다. DDT는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군인들의 생명을 구해주었다. 말라리아와 발진열(발진티푸스)을 전파하는 이는 물론 빈대와 벼룩의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한국뇌연구원
신경
혈관단위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
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또한 나 못지 않게 자라나는 다음 세대, 나보다 더 기후 위기에 취약한 사람들을 위해
신경
써야 함을 알리는 것도 중요해 보인다. 인류가 지금까지 존속되어 온 데에는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 작은 희생을 무릅쓰는 이들의 존재가 크지 않나 싶다. 다른 사람들이 하지 않는다면 더더욱 나라도 작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
2023.09.06
자세를 조정한 결과 실제보다 가볍게 느껴지는 게 아닐까. 즉 업힌 사람의 반응이 일종의
신경
피드백으로 작용해 뇌가 내 몸의 일부로 해석하는 체화가 일어난 게 아닐까.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비교 실험을 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과기원NOW] GIST, 바이러스성 질병 감염, 정확하게 진단하는 'AI 플랫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DeepGT)'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다양한 구조로 뭉쳐진 바이오 입자를 합성곱
신경
망(CNN)을 활용해 학습시켰다. 이렇게 개발된 플랫폼은 분자진단에 사용되는 유전자 증폭 및 표지 등과 같은 복잡한 표본 처리 과정 없이 항원-항체 반응만을 기반으로 해 단순성과 높은 확장성을 확보했다.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궁금하다. 생식세포를 통해 전달된 후성유전학적 특징들이 어떻게 무슨 형태로 소수의
신경
세포에 기억정보로 남아 있을 수 있을까. 아직도 생명체가 어떻게 배우고 저장하는지를 이해하는 길은 멀고도 험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메커니즘을 진화시켰다. 장벽의 장내분비세포(EEC) 섭취한 영양분을 감지해 호르몬과
신경
전달물질을 분비해 소화와 흡수를 조절한다(왼쪽). 한편 독소가 들어있으면 장벽의 다른 세포들이 반응해 해독작용을 한다. 알레르기 반응은 이 작용이 빨리 일어나게 하는 방법으로 비만세포(mast cell) 표면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
2023.07.29
인간은 도덕 또한 사회적이어서 아무리 끔찍한 일도 모두가 그 정도는 괜찮다고 무
신경
한 태도를 보이면 사람을 학살하는 일도 거리낌 없이 자행하곤 한다. 다수의 의사와 상관 없이 옳고 그름을 구분하고 옳은 일을 관철할 수 있는 도덕적 용기가 필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특히 조직의 방향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