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음"(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 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2부)동아사이언스 l2020.01.16
- 따른 위험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과 자동화의 위험도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로봇 도입이 늘면 선진국에선 임금이 상위와 중간에 있는 일자리는 늘어나고 임금이 낮은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임금 일자리가 자동화됨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리로 소음 잡는다…노이즈캔슬링 시대2019.11.26
- 신경 발화 빈도(아래 빨간 선)가 배쪽 와우핵 신경 발화 빈도(위 파란 선)보다 훨씬 낮음을 알 수 있다. ‘네이처 신경과학’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 "한국 AI생태계 조성 돕겠다" 튜링상 수상자가 설립한 엘리먼트AI 한국진출동아사이언스 l2019.11.20
- 협업이 필수라며 한국의 AI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역할을 하겠다고도 했다. 음 총괄은 “최근 회사 보고서에서 한국의 AI 인력이 적은 것으로 나오는데 그것보다도 아시아 국가가 AI 협업에서 고립된 AI 연구 상황이 문제”라며 “절대적 숫자보다도 글로벌 생태계에 참여해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 ...
- [주말N수학] 수학자 힐베르트 17번 문제, 자율주행차 안전 문제를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9.07.06
-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물을 없앤 연구팀의 노력에도 박수를 보냅니다. 과연 다음엔 어떤 문제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까요? 관련기사 수학동아 7월호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2019.06.04
- 12년 자신들의 2004년 실험의 해석에 오류가 있었다며 새로운 장치로 초고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입증한 논문을 ‘피지컬리뷰레터스’에 발표하면서 충격을 준 것이다. 현재 학계는 고체헬륨이 초유체일 수 있다는 주장에 대체로 회의적인 입장이다. 2010년 12월 일본 와코 이화학연구소 ... ...
- [에코리포트]"낡은 여행가방도 근사한 악기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04.13
- 밴드도 있지만, 저희는 기존 악기와 똑같은 소리를 내고 싶었습니다. 팀원이 다들 음악을 전공하기도 했고, 재활용 밴드도 결국 밴드잖아요. Q 노래는 직접 만드나요. 키보드 양지해 씨와 보컬 정은진 씨가 직접 곡을 만들어요. 흔히 재활용 밴드는 환경에 관한 노래만 한다고 생각하는데 저희는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⑦ 요구를 잘 이해하는 습관 길러주기 2019.03.27
- 있었다. 숙제가 너무 쉽다는 것이다. 역시 스스로 해보는 게 가장 빨리 익히는 법이다. 처음에는 더디지만 말이다. 그런데, 나이를 먹을수록 전자 제품 매뉴얼 읽기가 점점 싫어진다는 생각이 맴돈다. 쓰던 기능만 계속 쓴다. 그리고, 그 이유는 여전히 궁금하다. 도움자료 1) 4일 차 교안을 ... ...
- 바닷물에서 전극 부식 없이 수소 얻는다동아사이언스 l2019.03.19
- 홍지에 다이 미국 스탠퍼드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바닷물에서도 깨끗한 물에서처럼 수소를 얻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연구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태양광 ... “이 연구는 현재 업계에서 쓰는 전류와 같은 수준으로 바닷물을 전기분해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심안(心眼)으로 그 장면을 그려본다. “흑연 사이로 리튬이온이 들어가면 시커먼 전극(음극)이 황금색으로 바뀌면서 빛을 냅니다. 이 광경을 보고 있으면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죠.”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소리-색 공감각을 확인하는 테스트로, 공감각자는 세 차례에 걸친 검사에서 특정 높이의 음에 거의 같은 색을 대응시킨 반면(왼쪽) 비공감각자는 일관성이 없다(오른쪽)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그 결과 가계11의 공감각자들에서 변이 유전자 12개, 가계16에서 8개, 가계2에서 17개를 찾았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