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책략
모략
모사
지략
계략
모해
모함
스페셜
"
음모
"(으)로 총 7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연관성’처럼 이미 틀린 것으로 밝혀진 주장이나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 또는 자본주의
음모
(백신으로 돈벌이를 하는 제약회사와 의사들)에 맞서기 위해 또는 “자연에 맡겨야 한다”는 철학 때문에 자녀들에게 홍역백신을 맞히지 않겠다고 한다면 이는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의사결정권이 없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
론에 잘 빠진다
2019.01.12
것은 이들에게 있어서 자연스러운 사고방식이라는 것이 연구자들의 설명이다. 많은
음모
론들이 ‘우매한 너희들과 다르게 나는 진리를 알고 있다’는 식의 우월감을 내포하고 속고 있는 사람들을 가르치겠다는 계몽적인 성격을 띄는 것 역시 비슷한 맥락일 수 있겠다. 오랜 시간 축적된 근거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
2018.02.20
증거에 초점을 맞춰야 하고 데이터가 이끄는 곳으로 따라가야 한다”며 ‘설탕
음모
’의 진실을 파헤치는 작업을 한 이유를 밝혔다. 처음에는 저지방 식단에 반감 가져 이야기는 1941년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2차세계대전이 한창이던 당시 록펠러재단은 하버드대에 10만 달러(현재 화폐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
2017.01.31
다시금 세계적으로 번져나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른 집단들에 대해 편견을 갖고
음모
론을 퍼트리며 때로는 무자비한 보복을 행하는 것이 아무렇지 않은 집단적 나르시시즘에 정치인들 마저 편승해서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들은 집단적 나르시시스트들이 제일 싫어하는 것은 자기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개발했다고 주장했고 정부는 2005년 디젤 승용차를 허용했다. 결국 세계 자동차 업계의
음모
(또는 사기?)가 법으로 정당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호흡기질환으로 고생하게 됐다(물론 통계적인 얘기로 누가 희생양이 될지는 모른다). 학술지 ‘네이처’ 6월 2일자에는 생태와 환경의 관점에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살다간 석유갑부 ‘모리스 스트롱’
2016.01.10
주장했고 제3세계는 이런 모임이 자신들을 영구적인 빈곤으로 묶어두려는 선진국의
음모
라며 회의 개최를 반대하는 상황이었다. UN의 요청으로 UN환경계획(UNEP)의 초대 사무국장에 취임한 스트롱은 특유의 협상력을 발휘해 1972년 인간환경회의를 성사시켰다. 그리고 20년 뒤인 1992년 브라질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
2015.11.16
남성호르몬도 다르다는 것. 예를 들어 환관(내시)의 경우 수염이 나지 않는다. 그러나
음모
나 겨드랑이 털은 그대로다. 수염이 나려면 남성호르몬 가운데 테스토스테론(고환에서 대부분을 만듦)이 있어야 한다. 반면 겨드랑이 털은 부신에서 분비되는 약한 남성호르몬인 DHEA가 주로 작용한다.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죽음이었기에, 리 박사의 고국에서는 그가 미국과 고국의 정치 게임의 희생양이었다는 '
음모
'를 제기하는 소설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리 박사는 서서히 미국에서도 고국에서도 잊혀 갔고, 그를 '벤 리'라는 애칭으로 불렀던 물리학자들의 기억에만 어렴풋하게 남게 됐다. 살아 있었으면 틀림없이 ... ...
영화 속에서 나타난 바이러스와의 전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활용한다. 정부의 비밀기관이나 제약회사 등이 실험하다가 유출되었다는 식이다. 이런
음모
론은 실제 창궐했던 몇몇 바이러스가 사실은 실험실에서 유출된 것이라는 의혹 때문이다. 1977년 봄, 중국과 러시아에서 유행한 '러시아독감(H1N1)'에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가 있다. 러시아독감은 ... ...
타자기의 발명, 여성을 일터로 이끌다
KOITA
l
2013.05.08
평가절하를 초래했다는 뜻일까? 사실 이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저지하려는 남성의
음모
’ 따위가 아니었다. 이미 19세기 말부터 남성 사무직 노동자들은 상당부분 자율성을 저해받고 업무가 파편화되고 있었다. 미국의 프레드릭 테일러가 소위 ‘과학적 경영’을 도입하면서 사무 업무도 세부 ... ...
이전
3
4
5
6
7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