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아"(으)로 총 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 사회심리 I 끝없는 자기 비난은 도망의 다른 이름2017.12.02
- 수월하기 때문이다(Tangney et al., 2005). 따라서 실수나 잘못을 해도 이걸 나의 정체성과 자아가 걸린 이슈(self-issue)로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GIB 제공 물론 이해하는 것(understanding)과 봐주는 것(condoning)은 다르다. 정확한 현실인식은 자신의 약점이나 실수에 대해 ‘절대 일어날 수 없는 ...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2017.11.25
- ● 완벽해 보이려고 하지 않는다 또한 겸손한 사람들을 자신의 약점을 (위대해야 할 나의 자아에 어울리지 않는) 부끄러운 것이나 숨겨야할 무엇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실패시 “나의 약점이 드러났다!!”고 호들갑을 떨기보다 비교적 평온한 마음으로 이제 알았으니 다행이고 앞으로 보완해 나가면 ...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2017.07.30
- ‘혼자’ 양질의 시간을 갖는 것은 집단주의 사회의 개인에게는 특히나 더더욱 필요한 ‘자아찾기 겸 행복찾기’, 나아가 필요없는 쭉정이 같은 관계를 쳐내고 양질의 인간관계를 선별해나가기 위한 독립성 회복 활동이 아닐까? 일례로 나의 경우 주변 사람들이 다들 밥을 빨리 먹고 걸음도 매우 ...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2017.07.05
- 두지는 않았다. 오히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아직 헤아리지 못하는 미성숙함에서 비롯한 자아중심적인 행동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1930년대 소련의 심리학자 레프 비고츠키는 아이의 혼잣말을 전혀 다른 관점에서 해석했다. 비고츠키는 아이가 혼잣말을 통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받고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또는 비현실적으로 모든 면에 있어 완벽해야만 괜찮은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자아를 드높이려고만 했던 태도를 조금 버릴 때 다른 중요한 것들이 보이고 진정으로 나와 타인을 사랑할 수 있게 되는 게 아닐까? ※ 참고문헌 Bai, Y., Maruskin, L. A., Chen, S., Gordon, A. M., Stellar, J. E., McNeil, G. D., ... ...
- 당신이 틀린걸 인정할 때 자존심이 상하나요?2017.06.03
- 근거보다도 ‘내가’ 그렇게 믿는다는 사실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의견의 문제가 ‘자아’의 이슈가 되어서 내 의견이 틀렸다는 건 곧 내가 틀렸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의견을 수정하는 것 역시 자존심 상하는 있을 수 없는 일처럼 생각되곤 한다. 하지만 사실 사람인 이상 세상 모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비자아’와 구별해 인식하는 것이 아마도 면역학의 기초일 것이다. - 맥팔레인 버닛 아토피, 천식, 비염. 이 질환들의 공통점을 찾으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금방 ‘알레르기(알러지)’를 떠올릴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 질환의 공통점은? 류머티스 관절염, 크론병, 제1형(소아) 당뇨병,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의견이다. 정작 중요한 행동 수정에 집중하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때로는 되려 자아를 방어하기 위해 ‘내가 잘못한 게 아니야!’라며 스스로를 방어하며 애꿎은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게 되기 때문이다. 강한 죄책감과 나 자신이 쓸모없는 인간인 것 같다는 부끄러움은 그대로 가지고 있기에는 너무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2016.12.23
- 다룬다”며 “내러티브에 대한 민감성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세계 속에서 자아와 타인의 마음을 잇는 주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브루너는 “인간은 ‘이야기하는 동물(Home narraticus)’이다. 자신의 삶을 통일된 이야기로 구성할 수 있는 사람이 훌륭한 인간”이라며 ...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2016.11.09
- 등을 통해 다양한 의식들이 사람들로 하여금 초월적 존재를 쉽게 받아들이게 만들며 자아의 경계가 확장되는 듯한(transcendent) 느낌을 받도록 한다는 주장들도 있었다. “종교적 의식들은 신자들이 논리적인 반대의견에 꺾이지 않게끔 하는 ‘정신적 면역 시스템’을 만들어 준다” (Atran & Henrich, 2009 ... ...
이전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