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스페셜
"
최초
"(으)로 총 1,5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987년에 사용을 승인했다. 그리하여 실패한 항암제 지도부딘이
최초
의 HIV 치료제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 후로 지금까지 HIV 감염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약이 개발되어 현재는 HIV 감염환자가 발견되면 작용기전이 서로 다른 약을 동시에 투여하는 칵테일요법을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이보다 훨씬 짧아 10세기 이란고원(현 아프가니스탄) 일대에서 뿌리채소로 먹었다는
최초
의 기록이 있다. 당시 당근은 주황색이 아니라 노란색이나 자주색이었다고 하고 그림에도 그렇게 묘사돼 있다.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니콜라스 마스의 유화 작품 ‘채소 가게’(1655-65). 당근이 옅은 노란색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재향군인병이라 한 이 감염병은 1977년 1월 18일에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감염병임이
최초
로 알려졌다. 더위를 식히는 에어컨(냉방기)의 발견이 레지오넬라 감염증을 유발한 것이다. 에어컨은 냉각수를 이용하므로 냉각수에서 레지오넬라균이 증식하여 비말 형태로 사람으로 전파되어 감염증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제네바에 있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1990년대 반수소 프로젝트를 시작해 2002년
최초
로 반수소를 만드는 데 성공했고(아테나 실험) 2010년 반수소가 1000초 동안 소멸되지 않고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했다(알파 실험). 영하 266도의 극저온과 진공 환경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을 교묘히 배치한 용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재평가한 플로리(Howard Florey)와 체인(Ernst Boris Chain)은 이를 상용화함으로써 페니실린이
최초
의 항생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 3명은 194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세균을 죽이는 약을 항균제라 하며 항균제는 합성해서 얻은 화학요법제와 곰팡이와 같이 자연계에서 분리한 항생제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예산의 규모도 적지 않은 현실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물론 세계
최초
도 중요하고, 노벨상도 중요하다. 그런 국민적 기대가 과학기술계의 분발을 촉구하는 원동력이 될 수도 있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러나 국민이 간절하게 원하는 ‘꿈’이 현실이 돼버린 ‘2002년 월드컵의 기적’은 ... ...
[과기원NOW] KAIST ‘일기 쓰는 공기청정기’, 해외 픽토리얼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16
지난달 미국 피츠버그 카네기멜론대에서 개최된 국제학술대회 ‘ACM DIS 2023’에서 국내
최초
로 우수 픽토리얼상을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남 교수팀은 사물 관점에서 스스로 일기를 쓰는 공기청정기 제품 ‘아레카(Areca)’를 개발했고, 사물에 포함되는 의식의 속성을 정의하고 표현하는 디자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박테리오파지란 이름을 지은 프랑스 미생물학자 펠릭스 데렐. 1919년 파지요법을
최초
로 성공시켜 감염병 치료의 역사를 썼지만, 동료들의 미움을 사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위키피디아 제공 ● 이질로 사경 헤매던 소년 구해 파지 발견 과정은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 과정과 꽤 비슷하다. 1915년 영국의 ... ...
[사이언스게시판] 서울-바젤 스타트업 허브 액셀러레이션 참가기업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02
개최된 '강유전체 응용분야 국제심포지엄'에서 '젊은 강유전체 연구자상'을 국내
최초
로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박 교수는 산화하프늄 강유전체의 기본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새로운 응용법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유레가 국제공동연구 '파트너'를 통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계
최초
'세포 지도' 완성…장기와 세포 상호작용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7.22
네이처에 발표했다. 단일 세포 수준에서 세포들의 정확한 분포와 역할을 확인한 세계
최초
의 '세포 지도'다. 2018년 시작된 HuBMAP은 인체의 모든 세포가 어떻게 배열되는지 지도로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포 지도는 질병 치료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인체 곳곳에 존재하는 세포는 각종 장기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