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념
체념
자포자기
기권
추방
공공연히 버리기
절망
스페셜
"
포기
"(으)로 총 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편식 강요하는 무늬만 ‘맞춤형’ 교육과정 개편
2022.10.12
미래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가려주는 것이 학교와 교사의 책임이다. 그런 책임을
포기
하지 말아야 한다. 맞춤형을 핑계로 과도한 편식을 허용하는 반(反)교육적 교육과정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스포츠에 뛰어난 역량을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학교의 정상적인 교육을 면제해주는 우리의 잘못된 ... ...
[의학사로 읽는 세상] 뉴턴, 페스트 유행 기간 '만유인력의 법칙' 떠올렸다
2022.10.11
모두 몇 개인가.” 이런 질문을 받은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문제를 듣자마자 풀기를
포기
하거나 “모래의 크기가 얼마인지 확실치 않으므로 대답이 불가능하다”는 식의 답변을 하곤 한다. 모래의 크기가 확실치 않으면 자신이 정하면 되는 것이고, 모래의 분포지역 넓이도 이런저런 이유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조각들로 다시 온전한 유리잔을 만들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렇다고 과학자들이
포기
한 건 아니다. 언젠가는 물질에서 생명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꿈을 꾸며 여러 방향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낸, 아직 생명의 자격을 받지 못한 결과물들을 ‘인공세포’ 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고기를 먹다가 목에 걸리느니 치과 교정 치료비를 내겠다고 답했다. 나는 대화를
포기
했다. - 피터 웅가르, 《진화의 깨물기》에서 오늘날 만연한 질병 가운데 상당 부분은 오랜 세월 진화로 세팅된 상태를 무시하고 특정 장기를 지나치게 쓰거나 너무 안 쓴 결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지속적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내선 변질된 유엔 ‘세계 기초과학의 해’ 지정 의미
2022.08.31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고등과학원 석학교수)는 13일 “한국에서 ‘수포자(수학
포기
자)’가 생기는 이유는 항상 경쟁에서 이겨야 하고 완벽하게 잘 해야 하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수학동아 제공 호기심에서 시작하는 기초과학이 인류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해야할 일 미루는 사람들의 특성
2022.08.13
같은 이유들이었다. 매번 늦다보니 (지각도 많이 했었다) 나중에는 선생님들도 어느 정도
포기
하는 것 같기도 했다. 어쩌다가 늦지 않으면 되려 놀라는 반응을 목격하기도 했다. 어쩌면 태어나서부터 계속해서 미루는 습관을 가지고 살았지만, 그런 것 치고는 꽤 멀쩡하게 살고 있어서 다행(?)이라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지막회) 보통과학자론, 과학을 지탱하는 사람들
2022.08.11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
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설득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다고
포기
할 수도 없는 일이다. 발암물질에 대한 혼란은 생각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 우선 누구나 모든 발암물질을 적극적으로 경계하지 않는다. 흡연과 음주의 인체 발암성은 오래 전부터 널리 알려져 있지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
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 ...
필즈상 허준이 교수 "한국서 수포자 생기는 이유, 완벽하게 잘해야 하는 사회문화적 배경 탓"
동아사이언스
l
2022.07.13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고등과학원 석학교수)는 13일 “한국에서 ‘수포자(수학
포기
자)’가 생기는 이유는 항상 경쟁에서 이겨야 하고 완벽하게 잘 해야 하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허 교수는 이날 서울 동대문구 고등과학원에서 열린 ‘필즈상 수상 기념 강연 및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