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있다. 그러나 대화를 나누거나 어떤 일을 생각할 때 순간적으로 잠시 저장됐다가 곧
바로
지워지는 작업기억은 그 용량에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114에 문의해 알아낸 전화번호는 전화를 걸기 전까지 잠시 잊지 말아야 한다. 이때 일시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전화번호 숫자는 7자리 정도다. 이 일을 ... ...
수천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모든 미생물을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메타게놈(metagenome).메타게놈은 토양과 해양, 갯벌 등 다양한 자연 환경에 살고 있는 미생물들의 게놈을 종류별로 분리하지 않고 통째로 모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벤터 박사는 버뮤다해역 사르가소해에서 ... ...
두개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혜성! 화려하고 볼만한 혜성이 나타나는 것은 10년에 한번 꼴이다. 올해 봄하늘은
바로
그 신비한 혜성이 밤하늘을 장식한다. 그것도 두개가 한꺼번에.2001년 8월 24일, 지구 근접 소행성을 발견하고 추적하는 임무를 맞고 있던 니트(NEAT, Near Earth Astroid Tracking) 산하의 팔로마산 천문대 슈미트카메라에 1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동력원의 소음은 줄이고 파워는 늘리며 기계장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촉매와
바로
반응하는 수소를 연료로 이용하면 연소과정이 필요 없어 유압 모터의 움직임이 더 빨라지고 소음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배낭에 담을 수 있는 짐의 무게도 현재의 두배인 60kg까지 ... ...
미래 문화 이끌 제품 기획하는 곳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환경과 매우 유사한 상황에서 소비자의 마음을 알아내는 방법을 개발하기도 했다.
바로
이동식 관찰 장비를 동원하는 것.휴대전화와 같은 제품은 이동성이 중요한 특징이다.그러나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제품 사용 행태 분석은 갇혀진 실내에서 이뤄진다. 따라서 소비자의 행동양식과 패턴을 제대로 ... ...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속새류 같은 습지식물이 많았던 것으로 보아 지형이 낮은 호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바로
이때 오늘날의 석탄산업을 이끈 강원도의 두번째 ‘힘’이 등장했다. 당시 울창했던 식물이 지층에 묻히면서 석탄을 형성했던 것이다. 이처럼 고생대에 한반도는 바다에서 육지로 거듭나면서 현대 산업의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동해 연구 인력과 그 성과는 이웃 일본에 비해 수십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북한
바로
아래 접하고 있는 일본분지의 명칭에서 보듯이, 이름도 그들에게 선점당했다. 그나마 동해와 울릉분지의 이름을 국제적으로 쓸 수 있는 것도 그동안 국내 지질학자들의 헌신적인 연구와 노력 덕분이다 ... ...
봇물 터지는 발명소송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소송이 심심찮게 벌어지고 있다. 이중에는 청색 LED에 버금가는 대형 소송도 있었다.
바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시스템인 ‘천지인’ 특허 소송이다. 한글의 모음 창제 원리인 천(·), 지(ㅡ), 인(ㅣ)을 적용한 이 시스템은 ‘ㅣ · ㅡ’ 3개의 버튼으로 모든 모음을 표시할 수 있게 자모판이 구성된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내면과 외형거푸집간격이 알맞게 유지돼야 솥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바로
이 역할을 말과 도래가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래는 외형과 내면, 솥뚜껑 거푸집을 한번에 만들 수 있는 도구로 그 안에 숨겨진 지혜는 오늘날에도 놀라울 따름이다.주물사는 내면거푸집에 담아 석비레 흙을 ... ...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무리다. 엡실론 별의 서쪽에 있는 별은 변광성이어서 때에 따라 밝기가 다른데다
바로
옆에 비슷한 밝기의 별이 함께 위치해 있다.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별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가장 아름다운 이중성 푸르체리마는 천체망원경으로 보면 2.5등급의 노란색 별과 4.9등급의 녹색별이 붙어 있는 ... ...
이전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