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CD플레이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저장하고 재생하는 방식에서 조금씩 차이를 가지고 있을 뿐이다.이 가운데 특히
눈
여겨볼 것은 CD-I(interactive). 컴퓨터 주변장치로 작동하는 다른 ‘CD의 친구들’과 달리 달리 그 자체가 CPU(모토롤러 68000)를 가진 완전한 시스템이다. CD-I는 기존매체와 달리 쌍방향 매체로 1986년 처음 발표됐다.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배우면서 흥미를 느끼게 할 수는 없을까 고민하던중 거실에 놓여져 있는 컴퓨터가
눈
에 들어왔다.사실 그동안 남들은 조기교육이다 뭐다 해서 일찌감치 컴퓨터를 가르치지만, 최인선씨는 자신이 프로그래머이면서도 굳이 어린 나이에 배워야 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회의론자에 가까웠다. 더구나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분해능으로 측정하는 장치. 2개의 이켈슨 간섭계를 이용하고 있다.광구(photosphere) 태양을
눈
으로 볼 때 동그랗게 보이는 태양의 표층.태양풍(solar wind) 태양에서 방출되는 태양 플라스마의 흐름.플레어(flare)와 홍염(prominence) 태양 자기장이 소멸할 때 가지고 있던 에너지를 급격히 내놓으면서 광구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친구가 밤늦게까지 공부를 하는 것을 보면 자려고 껐던 스탠드를 다시 켜고 졸리는
눈
을 비비는 경우가 다반사였다.천박사는 재료과 박사 1호다. 1호이기 때문에 교수들이 너무 열심히 이것저것 시키는 바람에 힘도 들었지만 어설프게 박사학위를 받지 않았다는데 자부심을 느낀다고 한다.“제가 9 ... ...
PART Ⅰ. 훈련은 필수, 나이는 무관 당신도 초능력자가 될수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손가락과
눈
으로 기(氣)를 보내면 숟가락 접촉부위가 말랑해지는 느낌이 옵니다.” 잠시
눈
을 감은 이재석씨가 어느 순간 새끼 손가락으로 숟가락 끝을 잡아당기자 숟가락은 엿가락처럼 휘어졌다. 그는 다시 숟가락을 만지작거리다 왼쪽으로 당겨 꼬인 숟가락을 만들었다. 얼마전까지는 엄지 ... ...
1. 물체를 움직이는 정신작용 염력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계연원씨는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만으로 숟가락의 손잡이 끝부분을 잡고 2분 정도
눈
으로 응시하는 것만으로 숟가락을 두동강냈다. 방건웅 박사(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신소재특성평가센터)는 이 숟가락을 전자현미경사진으로 찍어 재료역학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금속이 고온상태와 저온상태에서 ... ...
4.
눈
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흥미로운 새로운 연구에 몰입했다. 그는 전혀 초시 능력이 없는 일반인 6명을 뽑아
눈
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색깔을 감지하게 하는 기초적인 훈련을 시켰다. 이들 중 한명은 1시간도 지나지 않아 두가지 색깔을 식별했다. 얼마 후 다른 한사람은 모든 색깔을 감지했다.색깔의 촉감을 ... ...
겨울철 실내 스포츠의 꽃 농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없다.슛거리가 멀수록 빨리 던져야슈팅은 단순한 근육의 움직임이 아닌, 손과
눈
의 협응이 조화롭게 이루어진 동작이다. 또한 슛은 속도 투사각 포물선운동 공기저항과 같은 역학적인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복합동작이다. 스포츠 과학자들은 그동안 어떡하면 선수들이 공을 더 잘 넣을 수 있을지에 ...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용어설명라이소자임(Lysozyme) : 외부와 접촉하는 점막에 존재하는 단백질 효소의 일종.
눈
물 콧물 침 우유 계란흰자 등에 존재한다. 이 효소는 공기에 의해 운반되는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파괴해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한다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것이지만 각 셸 사이의 선을 나타나게 했다. 또한 요일을 표시하는 줄에 음영을 드리워
눈
에 띄게 만들었다.②언뜻 보면 매우 어려운 느낌을 주는 디자인이지만 셸 사이를 선으로 이어보면 커다란 하나의 표임을 알 수 있다. 셸 사이사이의 선을 교묘히 지움으로써 입체적으로 보이게 한 것이다 ... ...
이전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8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