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복원한 결과 얼굴 턱 이빨의 생김새가 긴팔원숭이와 비슷해 긴팔원숭이의 조상으로
보고
있으며 약 2천만년 전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프로콘슬(Proconsil) : 1930년대 리키(L.. Leaky)가 아프리카 케냐에서 발견했으며 초기 유인원으로 고릴라나 침팬지의 조상으로 본다. 2천만년 전에 침팬지 같은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1월경에 헝가리 자연사박물관을 방문해 그곳에 소장된 북한의 곤충표본들을 쭉 점검해
보고
앞으로의 연구전망을 타진해 볼 계획입니다.마훈카-우리로서도 남한학자들의 참여를 적극 환영합니다. 사실 20만여점의 표본을 모아왔다고 해도 그것들이 모두 제대로 정리되지 못한 상태입니다.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물을 만든다. 화가는 색들을 결합해 그림을 그려낸다. '아비뇽의 처녀'(피카소의 작품)를
보고
사용된 색채의 정확함을 거론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른바 '질(質)적 전환'이라는 창조적인 과정이 더해지는 것이다. 복잡한 우주에 대해서 완벽하게 설명할 수 있는 법칙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거친 뒤에 결정한다. 그러나 우리는 눈으로 보거나 그 물에 사는 곤충의 수와 종류를
보고
도 수질을 짐작할 수 있다.1급수는 말하자면 식수로 쓸 수 있을만큼 깨끗한 물을 말한다. 여기에는 적어도 30종 이상의 곤충이 살고 있다. 망근쟁이 소금쟁이 참방개 물방개 물잠자리 왕잠자리 실잠자리 그밖에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외국에서는 과실 또는 오용으로 인한 비소중독사건이 종종
보고
되고 있다.■수은/미나마타병의 주범자연계에는 무기수은과 유기수은 화합물이 있다. 유기수은 화합물 중에서 저급알킬수은, 특히 메틸수은이 가장 독성이 강하다. 메틸수은은 어패류에 많이 함유돼 있다 ... ...
「정보화」의 두얼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반론을 제기하는 학자들이 생겨나고 있다. 실제 이러한 사례들도
보고
되고 있다. 이들의 반론에 따르면 정보화는 모든 지역에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 효과가 모두 같을 수는 없으며, 오히려 정보화는 대도시지역에서만 일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과 ... ...
열등의식의 해소수단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또는 일관성 없는 통제훈련을 받으면 이 유형의 청소년으로 자라게 된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셋째는 사회화성 비행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청소년은 다른 사람에게 어느 정도 애착을 보이나 대상이 한정돼 있다. 또 자신이 속한 집단(범죄집단)에는 의리나 충성을 보이지만 딴 사람의 권리나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생겨 있음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는 1953년에 예보의 형식으로, 그리고 1955년에는 상세히
보고
됐다. 이 실험결과는 학계에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화학적진화 실험연구의 효시가 됐다. 밀러의 실험결과에 고무돼 많은 사람들이 원시지구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의 혼합물과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소장)는 지금까지의 추세로 미루어 적어도 해양분야에서는 남북의 교류가 낙관적이라고
보고
있다. 허박사가 북한과 접촉창구를 갖게된 것은 86년 한국해양연구소가 미국동서문화센터와 동북아 해양자원관리를 위해 이 지역 당사국간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합의한 데서 비롯됐다.동해와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과정에서 우기 기온 등 기후에 대한 지식도 축적됐다. 자연히 그들은 하늘을 쳐다
보고
천문학을 연구하게 되었다.실제로 마야인은 지구가 둥글고, 태양주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코페르니쿠스나 갈릴레이보다 먼저 발견했다. 위도와 경도, 일식과 월식 현상도 알고 있었다. 또한 계절의 기간, ... ...
이전
798
799
800
801
802
803
804
805
8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