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러므로 철학에서 다루는 관념의 체계든 생물학에서 다루는 종(種)의 분류체계든
우리
는 그 체계의 이면에 담겨 있는 세계관까지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엉성해 보이는 정약전의 분류도 이런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정약전이 자산어보를 쓰게 된 것은 흑산도에 바다생물들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읽는 데 장애를 보이기도 하고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한글을 쓰는
우리
는 다행인 셈이다.한국인의 난독증을 연구하는 남기춘 교수는 “한글은 글자도 단순할 뿐더러 글자와 소리가 일대일로 투명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같은 음소글자이지만 글자와 소리가 대응하지 않는 ... ...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쓰려고 신경 쓰는데, 라면이나 과자 같은 가공식품에는 어떤 소금을 쓰는지 관심이 없다.
우리
가 섭취하는 소금의 80%는 가공식품에 들어 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정제염이다. 정말로 건강을 생각한다면, 이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소금까지 신경 써야 할 때다. 천일염의 이유 있는 변신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민들레 꽃밭대상 | 김지영·충북대 의대 해부학교실크레파스로 그린 것 같은 노란색 민들레 꽃이 화면에 가득하다. 큰창자의 일부분인 결장의 점막을 절단해 창자샘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사진에서 꽃처럼 보이는 부분은 창자샘이며 가운데 길쭉한 동그라미는 창자샘의 내강이다. 내강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없이는 숨을 쉴 수 없어 사망하게 된다.루게릭병 발생률은 지역마다 크게 차이가 없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매년 500~1000명 정도 새로운 환자가 발생한다. 보통 50대 이후의 연령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드물지만 영화에서처럼 20, 30대의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루게릭병 실마리 쥔 SOD1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성분이다. 지금은 주로 국수를 만들어 먹는 메밀은 흉년이 들 때
우리
조상들의 굶주린 배를 채워준 작물의 하나였다. 메밀은 100g당 약 360kcal의 열량을 내 쌀(100g당 350kcal)과 비슷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메밀은 백미보다 8배, 밀가루보다 2배 많은 섬유질이 ... ...
삼척동자와 도량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1말은 100홉인 1만 8039c㎥로 약 18L가 된다. 옛날
우리
선조들이 사용했던 수학은 오늘날
우리
에게 흥미로운 문화일 뿐만 아니라 당시의 과학기술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 ...
안전한 세상, 수학이 지킨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일상생활 속에는
우리
가 눈치채지는 못하지만 곳곳에 안전을 위한 설계가 자리잡고 있다. 이 중에는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최적의 안전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병뚜껑에 숨겨진 비밀에서 신호등 시간까지.
우리
를 안전하게 지켜 주는 수학의 소중함을 발견해 본다.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그 소망을 마술과 함께 하고 싶어요. 마술은 여러 가지 가능성을 보여 주는 꿈이에요.
우리
의 아이들 역시 어른들에겐 꿈이고 가능성이죠. 그런 아이들에게 항상 즐겁고 마술 같은 일들이 가득하도록 옆에서 든든한 지원군이 되고 싶어요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좋으면 수학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다.실제로 어떤 수학자들은
우리
가 언어를 쓸 수 있게 해주는 두뇌의 특성과 수학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특성이 똑같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제 수학을 잘 하고 싶다면 문제집만 열심히 붙잡고 있을 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고 ... ...
이전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