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의 해석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이를 ‘투사 가설’이라 한다. 이에 따르면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살아가는 방식은 두
가지
가 있다. 하나는 과거로부터 미래까지 연속적으로 나이를 먹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누군가 고양이를 들여다 보는 순간, 약간의 메커니즘(예를 들어 주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갑작스럽게 변해 버리는 ... ...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크기에서 우주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했지만 양자론에 어긋나는 단 한
가지
실험도 존재하지 않는다.그렇다면 한계는 없는가. 이론물리학자들은 양자론에도 분명히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비록 인간이 접근할 수는 없지만 크기가 매우 작은 극미의 세계는 분명히 ... ...
CD는 가고 DVD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625라인을 사용한다. 이 두 표준은 서로 호환되지 않으며, 우리나라는 미국과 마찬
가지
로 NTSC방식의 비디오를 사용하기때문에 미국에서 발매된 DVD타이틀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영국 등 유럽에서 발매된 DVD타이틀은 인터넷을 통해 수입해도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DVD플레이어에서는 ...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드브로이의 아이디어를 알기 전에 이미 전자가 공간에 퍼져있는 것 같은 효과에 관심을
가지
고 있었다. 1926년에 그는 아인슈타인을 통해 드브로이의 물질파 개념을 전해 듣고 이를 이용한 파동 방정식으로 수소의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있었다. 또 1927년에는 파동 방정식을 이용해 콤프턴 효과를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전구 또는 캡슐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 전구가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여러
가지
색깔로 변하면서 글씨와 그래픽과 같은 정보를 전달한다. 마치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전광판과 비슷한 원리다. MIT에서는 수많은 전자잉크 캡슐을 격자모양으로 종이에 인쇄했는데, 그 해상도가 ... ...
실리콘밸리와 할리우드를 접목한 CNET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건수가 약 20만회에 이른다. 이를 통해 CNET은 건당 평균 0.74달러의 매출을 올렸다.한
가지
특이한 점은 연결시켜준 CNET의 방문자가 물건을 구매하든, 하지 않든 판매업체는 수수료를 지불한다는 것. 언뜻 보기에 CNET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계약처럼 느껴진다. 그렇다면 판매업체는 왜 실제로 물건을 ... ...
토종 인삼과 가짜 구별하는 전자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신호를 보내야 한다. 사실 아무리 좋은 센서라도 수명은 있기 마련이다.사람의 코도 마찬
가지
이다. 후각상피세포가 수많은 냄새분자에 계속적으로 시달리다 보면 냄새분자와 결합하는 수용체 단백질에 이상이 생기기 마련이다. 다행히도 후각상피는 약 1달마다 계속 새로운 세포로 대체된다. 보통 ... ...
금메달감 체조동작이 완성된 비결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관절점을 기준으로 세부분으로 나눠 팔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는 두
가지
가 있다. 선수의 몸에 관절점을 표시한 후 촬영하거나, 촬영 후에 비디오 화면에서 각 관절점을 표시한다. 후자는 각 장면을 모두 표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전자는 표시점이 보이지 않거나 부정확하다는 ... ...
① 20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가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죽을 때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한편 19세기말에 이룩한 플랑크의 혁명은 여러
가지
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무엇보다 플랑크의 이 혁명은 물리학이 너무 완벽하게 완성돼 더 이상 할 일이 없을 것 같은 상태에서 나타났다는 것이다.더 이상 새롭게 할 일이 없는 것 같은 답답한 상황이 바로 ... ...
동물도 말을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사고를 담은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가져왔다. 인간이 다양한 언어를 발달시킨 한
가지
이유는 직립보행을 함으로써 목에 공간이 늘어나 성대가 커져 혀의 움직임이 아주 쉬워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립이 완전하지 못한 영장류들은 혀를 놀릴 공간이 없어서 인간과 같은 언어 발달을 이루지 못했다. ... ...
이전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