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d라이브러리
"
만
"(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리와 깃털 가진 '초대형' 공룡?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새로 진화한 과정의 비밀이 풀리지 않았지
만
, 공룡의 몸집이 작아지면서 새로 진화한 것
만
은 아니라는 주장이 더욱 설득력을 얻을 전망이다. *용각류체격이 크고 네 다리로 걷는 초식 또는 잡식성 공룡.*수각류두 발로 걷는 육식성 공룡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최근 미니스커트가 유행하듯이 위성에서 소형위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
만
은 분명한 사실이다. 또 소형위성의 위력은 점차 커질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공위성 초미니시대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PART3 '뚝딱뚝딱'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광합성을 하기 위해 물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데, 바다는 이산화탄소가 줄어든
만
큼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 또 크릴새우는 식물플랑크톤을 먹어치운 뒤 탄소가 포함된 배설물을 내놓는다. 결국 배설물이 해저에 가라앉을 때 탄소가 바닷속으로 가라앉는다는 말이다.스미스 ...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다. 이제까지 알려진 독감바이러스가 수백개에 이른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로부터
만
들어질 변종의 개수는 천문학적 수치가 된다. 바로 이 때문에 매년 고열을 동반하는 새로운 변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백신의 무한도전 PART1 백신이 여는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좋다면 선천적으로 좋은 눈을 타고났을 가능성이 크다. 또 좋은 시력을 가진 사람
만
이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아 그 형질을 후손에게 전했기 때문에 현재 모겐족 대부분이 좋은 눈을 갖게 됐을 것이다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코노넨코 올레그로 선정됐다. 볼코브는 전직 전투기 조종사로 우주체류시간
만
390일이 넘는 러시아의 우주영웅인 아버지의 대를 이어 첫 우주비행에 나선다. 올레그는 기계공학을 전공한 자동화시스템 전문가로 역시 이번이 첫 비행이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기혁 우주인개발단장은 “탑승팀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혁명의 중심이 바로 CPU”라고 말했다.CPU 분야는 세계 반도체시장에서 4분의 1을 차지하지
만
한국 기술이 아직 부족하다고 느끼는 박 상무는 학생들에게 큰 기대를 걸었다. “앞으로 아이폰처럼 상상력이 중요한 IT제품에는 CPU의 비중이 커질 겁니다. 물은 왜 색깔이 없는지, 중력은 왜 생기는지 같은 ... ...
가장 오래된 고릴라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살았던 시기로 보아 고릴라가 하나의 종으로 분화된 시기는 가설보다 수백
만
년 빠르다”며 “고릴라뿐 아니라 오랑우탄 같은 다른 영장류가 분화된 시기도 변경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홍석 박사는 “고릴라의 유전자는 아직 해독이 덜 됐고 유전자 조사와 화석 ... ...
탄소나노튜브 타고 날아가는 항암 폭탄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쪼일 수 있지
만
방출되는 전자의 강도가 알파 방사선의 4000분의 1밖에 안 된다. 그
만
큼 항암 효과도 떨어진다.윌슨 교수는 “알파 방사선과 베타 방사선의 차이는 포탄과 BB탄의 차이와 같다”며 “알파 방사선을 탄소나노튜브에 실어 몸 속에 보내면 암 치료의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 ...
숨은 키 1cm 결정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뭉쳐 있던 염색질이 풀어져야 하는데, HMGA2 유전자가 염색질을 풀리게 하는 물질을
만
든다는 것.실제 키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는 수백개다. 페닌슐라대 의대 티모시 프레일링 교수는 “유전자 수백 개 가운데 HMGA2 유전자가 키에 미치는 영향은 0.3% 가량으로 작은 편”이라며 “연구결과가 어떤 ... ...
이전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