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7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하고 유연한 생체연료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2
유연성을 고루 갖춘 고성능 생체연료전지를 개발했다. 김선정 한양대 전기생체
공학
부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와 생체효소를 이용해 유연하면서도 강한 섬유형태의 생체연료전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생체연료전지는 촉매를 생체촉매인 효소로 대체하고, 연료는 수소보다 ... ...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2014.06.11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갖는 제올라이트 제작에 성공했다. 홍석봉 포스텍 화학
공학
과 교수팀은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종류의 제올라이트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갖는 제올라이트 PST-6를 새롭게 합성했다고 11일 밝혔다. 제올라이트는 분자 이동이 용이한 미세 기공이 규칙적으로 ... ...
노벨상 받은 ‘iPS세포’, 암 일으킬 지도
과학동아
l
2014.06.11
남아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해 왔다. 도정태 건국대 동물생명
공학
과 교수팀은 기존 방법으로 만든 iPS세포의 위험성을 세계 최초로 실험적으로 증명하고 정확한 이유까지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야마나카 교수가 개발한 방법으로 체세포에서 iPS세포를 만들어 ... ...
혈관 속까지 검사하는 내시경 나온다면?
과학동아
l
2014.06.11
내시현미경을 혈관 속에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도 한창이다. 오왕열 KAIST 기계
공학
과 교수는 13일 오후 6시 30분 대전 교육과학연구원에서 ‘Seeing Inside Human Body: 내시현미경을 이용한 질병의 진단’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오 교수는 빛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해 질병 부위를 영상화하는 ... ...
여성 화
공학
도, 회사와 함께 성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6.11
알게 됐다. 이후 본격적으로 인공피부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된 양 소장은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의 자궁암 연구 전문연구실 연구원으로 자원했다. 하지만 돌아온 대답은 ‘NO’였다. 지금 당장 은 빈자리가 없다는 것. 하지만 양 소장은 포기하기 않았다. “책상이 없어도, 급여를 안 주셔도 괜찮다고 ... ...
“문·이과 통합? 적분 기호 모르는 공대생 수두룩할 것”
과학동아
l
2014.06.10
통합형 교과과정은 학력저하로 이어질 것” 배영찬 한양대 입학처장(화학
공학
과 교수)은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은 매우 염려스럽다”고 운을 뗐다.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에서는 문·이과 통합 수학ㆍ과학교과서를 만들 예정이다. 여기에는 현행 교과 ... ...
국산 암 진단시스템, 美에 수출
과학동아
l
2014.06.10
연구진이 개발한 암 진단시스템이 미국에까지 진출했다. 이정훈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가 이끄는 ‘CMOS 분자 이미지 프로세서 개발 융합연구단’은 참여기관인 바이오이즈가 ‘압타머’를 이용한 바이오칩으로 암을 포함한 만성질환을 진단하는 제품을 개발해 미국 메모리얼 허만 병원, ... ...
그래핀 한 번에 코팅하는 법
과학동아
l
2014.06.10
윤석구 고려대 공과대학 기계
공학
부 교수 - 고려대 공과대학 제공 2차원 탄소결정구조인 그래핀은 전자 이동 속도가 실리콘 반도체보다 10배 이상 빠르고 다양한 전기적․ ... 발사하면 운동에너지 때문에 그래핀이 여러방향으로 펼쳐지며 격자구조가 재생된다. - 고려대 기계
공학
부 ... ...
세포의 생사 가르는 활성산소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08
수수께끼를 풀었다. 조광현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팀은 권기선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노화과학연구소장과 공동으로 활성산소의 농도에 따라 세포를 죽게도 하고 살리기도 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8일 밝혔다. 활성산소는 대사활동 중에 발생하는 산소의 부산물로, 세포의 성장을 ... ...
STAP 세포 사태, 향후 쟁점은
과학동아
l
2014.06.05
어느 하나도 쥐의 세포의 유전자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정범 울산과기대 생명
공학
과 교수는 “STAP 세포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생물체의 기본적인 생존 자체에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강산성도 아닌 pH 5.7 정도의 약산성에서 정상세포가 줄기세포로 환원될 수 있다면 ... ...
이전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