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d라이브러리
"
영상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03
가능성을 처음으로 열었다. 최근에는 직접 뇌에 전극을 연결하지 않고 기능성자기공명
영상
(fMRI)이나 뇌파(EEG)를 통해 뇌의 명령을 읽어 들이는 기술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BCI 연구는 최근 놀라울 정도로 발전했다. 인간과 가장 유사한 휴머노이드를 조작하는 기술도 이미 등장했다. 생각만으로 ... ...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l
201003
전략기획팀장은 정면 벽에 설치돼 있는 3만 9336개의 LED소자가 빛을 밝히면서 거대한
영상
이 펼쳐진다고 설명했다. LED소자 하나에는 RGB광원이 하나씩 들어 있어 각각의 빛 세기를 조절하면 원하는 색의 빛을 만들어낼 수 있다.지난해 11월 17일 있었던 점등식에는 영국 출신 팝아티스트인 줄리안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03
좀 예외였다. 화석 내부에 부드러운 장기까지 남아 있었던 것이다. 독일 연구팀은 첨단
영상
기술을 동원해 이 패충류의 3차원 모습을 복원했다. 그러자 이 패충류에 자신의 몸보다 긴 슈퍼정자가 2개 들어 있음이 드러났다. 이 패충류는 슈퍼정자를 만들어내기 위해 자기 몸통의 3분의 1을 정자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03
토끼처럼 달 표면을 껑충껑충 뛰어다니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비록 일부
영상
에서는 부자연스럽게 걷고 있지만, 당시 우주복이 우주인들의 자유로운 움직임에 얼마나 큰 비중을 두고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1972년을 마지막으로 아폴로 계획이 끝나자 미국은 ... ...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03
차차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곧 첫 활용 사례가 나왔다. 활용 대상은 바로 망막이었다. 이
영상
기기는 작동 원리를 이름에 붙여 ‘광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장치’라고 불렀다.적외선 빔으로 망막 박리 질환 찾아내광주과학기술원(GIST) 정보통신공학과 이병하 교수는 “깊이 1mm 이내의 ... ...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03
그리고는 실험참가자에게 배를 내려다보는 것처럼 고개를 숙이게 한 뒤 준비한
영상
을 보여줬다. 연구팀이 실험참가자의 전기피부반응(GSR)을 측정하면서 마네킹의 배를 칼로 찌르는 듯 위협하자 참가자는 마치 실제로 위협을 느끼는 것처럼 피부에 땀이 증가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실험 ... ...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수급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003
99m은 뼈와 뇌, 심장을 비롯한 각종 장기에 발생한 난치성 질환을 진단하는 핵의학
영상
검사에 사용된다. 특히 반감기가 6시간으로 짧아 방사선 피폭량이 매우 적고 정확도가 높아 전체 의료 진단용 동위원소 사용량의 80%를 차지한다.방사선 진료 대란 속수무책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는 데는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03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몇몇 기업들도 이런
영상
지도서비스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지도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모바일 시대의 우리 생활에 필수적인 아이템이 되고 있다. 또 과학은 이런 지도와 연계해 우리 지구를 지키고 있다. 매일매일의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03
때문에 수백μm 깊이까지 관찰할 수 있다”며“이런 장점은내시경 기구와 결합해 의료
영상
기법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떨고 있는 적혈구 포착형광현미경과 2광자흡수 현미경은 모두‘공초점' 방식이다. 공초점이란 시료로부터 반사되거나 방출된 빛이 여러 개의 광학 소자를 통과해 ... ...
일상에서 출발해 큰 무대 누비다
과학동아
l
201003
수준이다. 복사냉난방 및 수배관 실험실이 마련돼, 외부 조건과 관계없이 영하 10℃에서
영상
40℃까지 복사냉난방 실험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연구실에 들어온다고 완전히 새로운 지식을 배우는 건 아닙니다. 그동안 배운 내용을 고차원적으로 응용해보는 것이죠. 학문으로 배울 수 없는 것을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