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학"(으)로 총 1,325건 검색되었습니다.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과학동아 l200004
- 궤도를 도는 행성을 내행성, 그리고 밖에 있는 궤도를 도는 행성을 외행성이라 한다. 천문학자들은 1976년과 1980년대 사이에 태양계의 행성 가운데 화성의 바깥쪽에 있는 5개의 외행성, 즉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이 비스듬한 일직선상에 놓인다는 것을 알게됐고 이때에 탐사선을 ... ...
- 긴급점검 사이버 교육과학동아 l200003
- 세계 방방곡곡에 있는 친구들과 함께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뉴욕에 있는 유명한 천문학교수가 진행하는 ‘우주의 진화’에 대한 강의다. 컴퓨터에는 카메라와 마이크가 설치돼 있어, 교수와 친구들의 얼굴과 행동을 볼 수 있다. 또한 교수가 내준 문제를 친구들과 함께 대화하면서 서로 의견을 ... ...
- 1. 천연두가 지구상에서 사라진 이유과학동아 l200003
- 목숨을 잃는 사람이 매년 1천7백만명에 이르고 있다(그림2). 더욱이 백신 연구는 천문학적인 고부가가치를 낳을 수 있는 유망한 분야다. 미래에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뿐 아니라 노벨상에도 도전하고 싶은 젊은 생명과학도라면 한번 과감하게 덤벼볼만한 ...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과학동아 l200002
- 시각은 조금씩 차이가 난다. 때문에 정확한 관측을 해서 시간을 정하는데 매우 복잡한 천문학지식이 요구된다. 일년 내내 관측을 해서 어느 날, 어느 시간에 남중하는 별들을 정해두고 별들이 기준점에서 몇도 돌아갔는지를 측정해야 한다. 별시계는 일상적으로 쓰기에는 너무나 불편한 시계다 ... ...
- 우주도 여성 차별하나과학동아 l200002
- 이 분야에 종사하는 남성학자가 수백명인데 비해 여성은 겨우 3명뿐이라는 사실은 천문학 분야뿐 아니라 전 과학분야에서 여성차별의 현주소를 말해주고 있다 ... ...
- 지구는 얼마나 클까?과학동아 l200002
- 셈인지 그 후의 사람들로부터 무시되고 잊혀지고 말았다. 기원전 100년 경 그리스의 천문학자 포시도니우스는 비슷한 방법으로 지구의 둘레가 2만8천8백km라는 결론을 얻었고, 실제보다 훨씬 작은 이 값을 오랫동안 사람들이 믿었다. 이로 인해 1600년이 지난 후 콜럼버스는 지구를 돌아 인도에 가기가 ...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과학동아 l200001
- 정확도를 높이는데 필수적인 것은 정북극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다. 세종 당시의 유수한 천문학자들이 서울을 기준으로 하는 정북극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냈고 이를 기준으로 앙부일구 내부의 눈금선이 정확히 매겨질 수 있었다. 결국 앙부일구 내부에서는 영침의 그림자 길이가 하루종일 달라지지 ...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과학동아 l200001
- 형태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예로부터 12라는 숫자는 우주와 깊은 관련성을 갖고 있다. 천문학에서 말하는 황도 십이궁과 우리의 십이지가 그 예다. 플라톤의 이런 주장 때문에 정다면체는 ‘플라톤의 입체도형’이라는 별명을 갖게 됐다. 플라톤의 이론은 현대적인 시각에서 보면 기묘하고 ...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과학동아 l200001
- 때문에 생긴다. 밤하늘의 구역정리행성이나 달,태양의 움직임을 쫓아가야 했던 고대의 천문학자들에게 무질서하게 흩어진 빛의 점들은 어떤 식으로든 알기 쉽게 정리되어야 했을 것이다.그래야 다음날 관측이 쉬워지고 다른 사람에게 그 위치를 설명하기도 쉬웠을 것이다.그래서 밤하늘을 펼쳐 ... ...
- OZ 풀코스 별자리여행과학동아 l200001
- 우주,오!우주를 뜻하는 OZ가 제목에 들어가 있는 이유를 책장을 넘기면서 깨닫게 된다.천문학과 재미,그리고 미술적 아름다움이 조화를 이룬 두권의 책이 별이 쏟아지는 밤,독자들의 품안에서 새로운 의미로 다가설 것이다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