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군대
주
현
군사
군부
떼
무리
d라이브러리
"
군
"(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타쉽 트루퍼스(Starship Troopers)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하드웨어적 설정의 가능성이고 다른 하나는 앞에서 언급한 작가의
군
국주의적 태도이다.장갑강화복의 원어는 ‘powered suit’. 즉 직역하면 ‘동력복’ 정도가 되겠지만 설정의 상황 등을 고려해서 번역서에는 ‘강화복’이라고 돼 있다. 이 장비는 글자 그대로 자체동력원을 이용해 사람 근육의 ... ...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제한규정이 없다고 한다. 아무리
군
의 특성을 감안한다 해도 육
군
은 모두 가능하고 공
군
은 아예 안된다는 것은 무리가 아닐까.대한안과협회는 1999년 6월 의학협회로 회신한 색각검사에 대한 의견에서 “(대표적 색각검사표인) 이시하라 구판은 그 오류가 많음이 저자에 의하여 밝혀지고 새로운 ... ...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던지는 법적 쟁점8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확정하기 위한 유전자정보는 충분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유전자정보는 결혼, 입양,
군
입대 및 입학 등에서도 차별적 요소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공부를 못하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현재 공부를 잘 하더라도 결혼 상대자에서 우선적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 ...
고등학생들이 만든 호버크래프트 '희망 2000'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리로 동작된다. 1950년대 영국에서 개발된 이후 수상 인명구조와
군
사용으로 사용되다가 1980년대 이후 레저용으로 보급되고 있다. 국내에는 88서울올림픽 이후 레저용으로 수입됐다. 국산 호버크래프트는 땅위에서 20cm높이로 떠서 시속 60km로 날아가며 25도 정도의 경사면도 ... ...
산불 그 후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맹렬했던 산불은 5월에 들어서면서 거의 소식이 없어지고 있다.왜 그럴까.동해안지역 시
군
의 삼림과 직원이나 산림감시원들 사이에서는 '아카시아 꽃이 피면 발뻗고 잔다'말이 있다.5월이 되면 습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초목의 잎들이 피어나고 산불발생 위험도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 ...
4. 수학은 왜 어려운가?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금상을 수상한 박영한
군
(경기과학고3년)에게도 수학은 어렵다.하지만 박
군
은 어려운 문제일수록 큰 희열을 가져다준다고 말한다.골똘히 문제에 집중하다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면 그것처럼 시원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사실 현재 학생들이 수학을 기피하는 이유중의 하나가 생각하기를 싫어하는데 ... ...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됩니다. 그럴 때마다 좋지 않은 자극이 턱관절에 전달된다고 생각해보세요.상담을 마친 L
군
은 사소한 생활습관 하나가 어느 순간 무서운 존재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새삼스럽게 깨달았다. 의사의 설명으로는 인구의 30% 정도에서 턱에서 소리가 발생하거나 통증을 느낀다고 한다. 적지 않은 수다. ... ...
원은 왜 완전한 도형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수 있는데, 그는 5차방정식을 푸는 문제를 연구할 때 근 사이의 대칭성을 연구해서
군
의 개념을 발견했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5차방정식을 거듭제곱근으로 풀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혔다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신체의 어느 범위까지 특허의 대상이 될지에 대해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는 점이다. 누
군
가 인간 유전자 10만개 모두에 대해 특허를 따내지는 않을까. 세포 수준을 넘어 내장기관까지 특허의 대상이 될 것이라면 과연 지나친 상상일까. 특허 제도가 어느 정도까지 ‘생명에 대한 소유’를 보장하는게 ... ...
스페이스 셔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1985년 10월 3일 첫 비행에 나섰다. 주로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와의 도킹 업무와
군
사위성 발사임무를 수행했다. 비행횟수는 20회. 그리고 챌린저호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개발된 엔데버호는 1992년 5월 7일 첫 비행에 나서 13회의 우주비행기록을 세웠다. 미국은 지금까지 우주왕복선을 타고 97번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