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여기선 우리가 기획자 매스펀 잡담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열렸죠. 이번 폴리매스데이에는 많은 친구가 참여해서 3월 14일 하루동안 여러 기네스 기록들이 세워졌답니다!온라인 폴리매스데이 기네스 1. 하루 동안 올라온 최대 잡담 수: 274개2. 100개 게시글이 나온 최단 시간: 1시간 36분3. 공지글 제외, 한 게시글에 달린 최대 댓글 수: 67개폴리매스 신문2019년 1 ... ...
- 스페이스 타임머신, 우주망원경과학동아 l2020년 05호
- Intro. 스페이스 타임머신, 우주망원경Part1. 허블우주망원경 | 우주 훑은 30년의 대기록Infographic. 한 눈에 보는 역대 우주망원경Part2. 제임스웹우주망원경 | 빅뱅 직후 과거로의 항해Part3. 지상망원경 | 더 크게 자세히 본다Part4. 스피어x | 우주 전체를 찍어라Interview. 제임스 J. 복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실제로 이런 효과를 내는지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제품의 실제 성능이 기록된 제품안내서를 꼼꼼히 살펴보는 겁니다. 가령 국내 S 업체나 K 업체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각각 청색광 차단 렌즈와 청색광 차단 필름의 청색광 투과율을 사진과 함께 공개하고 있습니다. 제조사의 ... ...
- [방구석 과학] 끓일수록 깊은 맛이? 가마솥 감바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만드는 가마솥힙스터즈 채널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중에서도 조회수 92만 회를 기록한 ‘가마솥 감바스’! 우리나라 전통 조리도구인 가마솥과 스페인 전통 요리 감바스의 만남이라니. 이 만남, 결말은 괜찮을까요? 과학기자가 직접 요리해봤습니다. 가마솥요리입문 I 가마솥 감바스 깊은 맛의 ... ...
- [스쿨리포트 A+] 생활에서 궁금증 찾아 해결하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게 아니라 온도나 빛의 양처럼 보관 환경의 세부적인 조건을 선정해 직접 측정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이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면 과학탐구 활동 수행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과학동아는 과학교사 모임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신과람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신장 174cm인 러시아의 옐레나 이신바예바가 보유하고 있고, 남자 실외 장대높이뛰기 세계기록은 6.14m로 신장 183cm인 우크라이나의 세르게이 부브카가 보유하고 있다. 이런 식이면 결괏값이 틀릴 게 뻔하다. 그런데 수치상 오차가 있다는 점만 제외하고 보면 말도 안 되는 상상을 실현해나가는 과정은 ... ...
- 우리나라는 얼마나 잘 감축하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2020’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노력이 61개국 중 58위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어요. 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배출량, 재생 에너지 비율, 기후 정책을 고려해 이같이 평가했지요. 태양광, 수력 등을 사용해 에너지를 만들려는 노력은 크지만, 사용 비중은 매우 낮은 수준에 ... ...
- [수학체험실] 수학자, 예술가 모두 사로잡은 황금비 만드는 황금분할기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직접 만들어보자. 황금비를 둘러싼 2000년의 역사 황금비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300년경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가 쓴 ‘원론’에 담겨 있다. 원론에는 어떤 선분을 둘로 나눴을 때, 긴 부분에 대한 전체의 비와 짧은 부분에 대한 긴 부분의 비가 같다면 그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 Hubble “인간은 오감으로 자기 주변의 우주를 탐험한다. 우리는 이 모험을 과학이라 부른다.”_에드윈 허블지난 30년 동안 우주에서 활약하며 인류 탐험의 역사를 상징하게 된 허블우주망원경. ‘허블’이라는 이름은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의 이름을 딴 것이다. 수많은 천문학자 중에서도 ... ...
- [Go! Go! 고고학자] 마룻바닥 밑에서 도굴품이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상의 범죄예요. 유물이 출토된 위치나 함께 발견된 유물 등, 발굴 순간 고고학자가 기록하지 않으면 사라질 역사적 맥락을 도굴꾼이 파괴해 버리는 것이지요. 만약 다음에 여러분이 박물관에 갈 기회가 있다면, 꼭 전시된 유물의 출처를 확인해 주세요. 출처가 없는 유물은 도굴품일 수도 있거든요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